환절기와 겨울에 주로 인기를 끌던 스파용품 매출이 '사우나 비수기'인 여름에도 작년보다 뛴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대중목욕탕 방문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다.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온라인 쇼핑몰 SSG닷컴의 반신욕기, 족욕기 등 사우나 용품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99% 늘어 두배 수준이 됐다.
입욕제(243%), 욕조 덮개 등 욕조용품(78%) 매출도 함께 늘어났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이 이어지자 대중목욕탕에 가는 대신 가정 내 목욕을 즐기는 이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됐다. 감염 우려를 피해 집 욕조에서 반신욕을 하며 아쉬움을 달래는 것이다.
같은 기간 G마켓에의 욕조(간이욕조 포함), 거품 입욕제, 족욕기·족탕기 매출도 각각 57%, 22%, 12% 증가했다.
이마트 경우 족욕기(296.4%)와 샤워 수건, 바디 브러시 등 목욕용품(20.2%) 매출이 두루 뛰었다.
이마트 관계자는 "통상 한여름에는 족욕기가 인기가 없는데, 코로나19 여파로 목욕탕에 가지 않고 집에서 찜질하려는 수요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