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4일 휴가를 떠났다. 8일까지 경남 거제시 저도에서 여름휴가를 보낸다. 취임 후 두 달 동안 쉼 없이 달려와 지친 심신을 달래고, 휴식을 통한 재충전과 국정 운영 전반(全般)에 대한 구상으로 휴가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 한미 관세 협상에 이은 주한미군 조정 및 국방비 증액 등 안보 협상, 특히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 준비에 힘을 쏟을 전망이다.
이 대통령이 휴가에 들어가기 전날인 3일과 당일인 4일 새벽 많은 비가 내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물난리가 났다. 전남 무안의 경우 시간당 142㎜가 넘는 극한 호우로 산사태 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4일 오전 5시까지 289.6㎜가 쏟아졌다. 200년 만의 폭우(暴雨)라고 한다. 남부지방엔 50∼200㎜, 전남 서해안엔 250㎜ 정도 비가 내리기도 했다. 호우특보가 발령됐고, 5일까지 남부에 250㎜ 폭우, 6~7일에도 호우 가능성이 예보됐다. 행정안전부는 3일 밤 풍수해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올렸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말 휴가를 신청했다가 반려(返戾) 통보를 받았다. 많은 비가 예보돼 있는데 휴가를 가려고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당시 대통령실은 "재난 대응 심각 단계에서 재난 방송 컨트롤타워인 방통위원장의 휴가 신청은 부적절하다고 봐 반려했다"고 밝혔다. 이에 이 위원장은 "휴가 신청과 실행은 전혀 다른 문제다. 장관급의 휴가 신청은 실행 일주일 전에 하게 돼 있고 만약 휴가 실시 전 폭우가 쏟아지는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다면 휴가 실시는 당연히 없던 일이 될 것"이라며 반박했다.
이 대통령의 경우 이번 휴가가 누구, 어느 때보다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최소한의 형평성(衡平性)과 일관성은 지켜져야 한다. 국민 정서도 살펴야 한다. 직무와 시스템에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이중 잣대 적용으로 비칠 수 있다. 대통령실이 "4일엔 일단 정상 출근해 풍수해 상황을 지켜본 뒤 휴가 시점을 결정하겠다"고 했다면 이 대통령과 대통령실에 대한 신뢰가 더 높아지지 않았을까.
댓글 많은 뉴스
정청래 "대통령도 갈아치우는 마당에 대법원장이 뭐라고?"
美에 28조 통화 스와프 얻은 아르헨…한국은 뭐하나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 셀프 왕따 인증…뭣이 중헌지 정말 몰라"
'트럼프 만찬' 불참한 李…대통령실 "이 상황에 무슨 말하겠나"
김민석 총리 "비자 문제 해결될 때까지 미국 투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