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중앙노사단체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임금인상안을 별도 마련하고 단위 노조는 이를 바탕으로 임금협상에 임할 가능성이높다.김수복 국제공인노무사 사무소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국제회의장에서 경총 주최로 이틀째 열린 「95년도 임금·단체교섭 전략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상황을 감안하면 노·경총이 독자적으로임금인상안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김소장은 노총이 올해부터 거부키로 한 경총과의 임금합의는 임금 억제수단으로 악용돼 왔다는 재야 노동계의 비판에도 불구, 단위 사업장의 임금 교섭에 따른 혼선을 줄이는데 기여했다고 주장했다.
김소장은 중앙단위의 임금합의가 사라지면 문민정부 출범이후 노·경총간 임금합의에 의존했던 정부의 임금정책은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해지고 단위사업장의 임금협상에 당장 커다란 혼란이 빚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김소장은 단위 사업장의 임금협상 과정에서 노사관계의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쌍방에게 패배가 없는 윈-윈(WIN-WIN) 교섭 능력을 키우는 것이 현재로서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