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자제품 국산화율 뒷걸음-지난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엔화 초강세 국면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요 제품의 부품과 소재 국산화가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컬러TV와 VCR, 오디오 등 주요 전자제품의 국산화율은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일 전자공업진흥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컬러TV의 국산화율은81.8%로 93년의 96%에 비해 15% 포인트 이상 낮아졌다.88년의 73%, 90년의 96%로 해마다 높아지던 컬러TV의 국산화율이 이처럼 갑자기 낮아진 것은 와이드TV 등 첨단제품이 등장하면서 핵심부품의 국산화가이뤄지지 못한데다 전자업체의 해외진출이 늘면서 현지공장에서 생산한 부품의 역수입이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VCR의 국산화율도 93년의 95%에서 지난해에는 74.1%로 떨어졌으며 오디오 제품의 국산화율은 69.5%에 불과, 주요 전자제품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오디오 제품의 국산화율이 이처럼 낮은 것은 스피커 등 첨단, 고급부품의 경우 국산품의 품질수준이 아직 선진국 제품에 크게 뒤지기 때문이다.전자레인지의 국산화율도 93년말의 95%에서 지난해에는 86.2%로 낮아졌으며세탁기 국산화율도 93년의 95%에서 93.6%로 떨어졌다.

이는 전자업체의 해외이전에 따른 역수입이 늘어난데다 신제품들이 첨단,고급화하고 있는데 비해 핵심부품의 국산화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