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년4월 고리원전1호기가 가동되면서 우리 안방까지 밝히기 시작한 '제3의불'은 이제 한국의 대표적 에너지로 자리를 굳힌지 오래다. 설비용량 58만7천㎾는 지금으로 보면 별것 아니지만 당시로선 1㎾의 전력이 아쉬운 때였다.▲이때 원자로 공급자는 미웨스팅 하우스사. 이후 웨스팅은 고리2~4호기를비롯, 영광 1·2호기까지 한국의 원전시장을 거의 독점해왔다. 83년4월 가동에 들어간 월성1호기가 캔두형으로 된 캐나다산이었을 뿐이었고 프랑스 프리마톰사가 울진1·2호기에 참여한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물론 이들 2개국가와의 계약은 기술이전등이 미국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총공사비 31억달러규모의 영광3·4호기는 당시 한미간의 무역마찰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다시 미국 3개회사에 넘어갔다. 영국·프랑스·캐나다등 7개국 23개회사에 입찰안내서를 보냈지만 나머지 국가들은 들러리였다. 당시 캐나다 정부등이 강한 반발을 보인 것도 이 때문이다. ▲그때 처음 한국에 진출한 회사중 하나가 바로 컴버스천 엔지니어링사. 핵심분야 원자로 부분을 맡았고최근 대북경수로로 논의되고 있는 한국형 모델의 제조회사다. 그러나 한국때문에 톡톡히 재미를 본 이들 2개회사가 이제 거꾸로 북한에 원전정보와 기술등을 제공하며 경수로협상에 돈을 벌기 위해 재를 뿌리고 있다고 한다. 기업의 도덕성이나 신의를 논하기엔 우리가 너무 순진하다고 할까.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與 "재판중지법 재개는 국힘 강요 때문"…장동혁 "닥쳐, 국민이 시킨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