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대통령 새 총무처 임명등 진화작업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전직대통령의 4천억 비자금설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김영삼대통령은 7일 새총무처장관 임명을 시발로 정국수습에 본격 나섰다.김대통령은 하계휴가중 돌출변수로 터져나온 전직대통령 가·차명계좌설발설자인 서석재전총무처장관의 사표를 수리한데 이어 이날오전 김기재전부산시장을 후임총무처장관에 임명하는 것을 시발로 공식업무를 재개한 것이다.이로써 김대통령은 전직대통령 비자금파동을 가급적 조기에 차단, 더 이상의 불씨가 정국전반에 번지지 않도록 이번 사태의 조기진화에 나서고 있다.서전장관 발언파동에 대한 첫 단계 진화작업으로 서전장관의 사표수리 사흘만에 신임장관으로 40대의 김장관(49세)을 임명, 행정공백을 최소화하는한편 정부의 '공신력있는 기관'으로 하여금 서전장관의 발언경위와 진위여부에 대한 진상규명에 착수토록 지시함으로써 정국수습의 첫 단추를 풀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따라 검찰은 주초부터 수사에 착수, 서전장관을 자진출두형식으로 불러 비자금 발언내용과 이를 전한 기업인신원파악 및 비자금 형성여부등에대한 조사작업을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통령은 서전장관의 발언내용을 처음보고 받고 크게 '진노'하면서 "어떻게 정부각료가 무책임하게 그런 발언을 할 수 있느냐"며 발언경위와 진위여부에 대한 진상규명을 즉각 지시했다고 청와대의 한 당국자가 전했다.특히 김대통령은 이번 사건의 경우, 정부의 공신력있는 기관의 조사를 통해 진상이 규명될 것이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금융실명제의 진가'를 국민들에게 보여주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말해 김대통령은 전직대통령 비자금설 파문을 정공법으로 대처함으로써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이번 사태의 불씨를 제거하고 다음주부터 광복 50주년 8·15대북제의와 국민화합차원의 사면·복권조치 단행을 통해 국면전환을 시도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총무처장관의 즉각 임명도 이같은 복안의일환으로 풀이된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와야 진상을 알게 되겠지만 전직대통령 비자금설파문은 한마디로 서전장관의 실언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추된다"며 "김대통령이 서전장관의 사표를 즉각 수리한 것도 바로 이런연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들이 서전장관의 발언에 대해 계속 의혹을 갖고 있는 만큼 김대통령으로서는 먼저 국민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공신력있는 기관으로 하여금 서전장관의 발언경위와 진위여부를 조사토록 지시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공신력있는 기관은 검찰이 되며 주초부터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정부고위관계자가 전했다.

김대통령은 서전장관 발언파동과 향후 당정개편등 정국수습을 별개의 사안으로대처, 이번 파문으로 당정개편의 시기를 크게 앞당기거나 청남대구상의기본틀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고위관계자는 "서전장관의 발언파동이 김대통령의 정국수습구상에 전혀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정국구상의 기본골격에 변화를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향후 당정개편에서 서전장관이 집권여당 사무총장에 발탁될 가능성이 있다는 항간의 관측은 단순한 추측에불과할 뿐, 그 가능성이 높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민자당 개편에도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현실적으로 원외인사가 당사무총장을 맡기는 어렵다는 것. 따라서 서전장관은 앞으로 있을 민자당 신·증설 지구당위원장 인선에서 부산지역의 한 지구당을 맡아 정계로 복귀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대통령은 전직대통령 비자금파문과 향후 정국구상의 선을 분명히 긋기위해서라도 당초 예상대로 △8·15 대북제의와 국민화합조치 단행 △24일 기자회견을 통한집권후반기 청사진 제시 △집권후반기 시작인 25일을 기점으로새로운 출발 다짐의 수순으로 정국의 물꼬를 헤쳐나갈 것으로 분석된다.청와대의 한 당국자는 "김대통령은 당초 8월말이나 9월초 대폭적인 당정개편을 단행하려 했던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전직대통령 비자금 파문과 총무처장관 경질등으로 정국이 더욱 어수선한 만큼 집권후반기가 시작되기전인25일이전에 당정개편을 단행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전망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