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각종 위원회운영 공개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선자치시대에 들어와서도 대구시에 설치된 무려 71개나 되는 각종위원회가 줄어들지않고있으며 이중 절반을 넘는 위원회의장을 여전히 부시장이 맡는등 시위원회의 구성과운영이 행정의 효율성보다 형식에 치우쳐 행정기관의 자문등을 목적으로 한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다시일고 있다.특히 대다수 위원회의 운영이 비공개적으로 이뤄져 특정사안에 따라서는특혜시비의 말썽이 잦아위원회의 수를 줄이거나 운영방법을 대폭 바꾸는등의 제도적 개선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근 말썽이 된 구코오롱부지 용도변경건도 심의를 맡았던 주택사업 입지심의위원회의 경우 결정당시 위원간에 심한 의견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승인절차를 공개하는등 운영상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현재 대구시에는 71개의 각종위원회가 법령이나 조례·규칙등에 근거해 설치돼 있고 그중 시장이 12개, 부시장이 38개, 실국장이 17개, 민간인이 4개의 위원장을 각각 맡고 있다.

그러나 71개 위원회중 도소매업진흥심의위원회등 1년가야 한번도 제대로열리지않는 유명무실한 위원회도 적지않아 행정력의 낭비만 가져오고 있는실정이다.

또 부시장이 전체 위원회 위원장의 절반이상을 맡고 있는등 실제업무보다격식에 치우치고 있어 업무성격에 따라 실국단위로 기능을 재조정하는 문제도 검토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특히 위원회 심의안건에 대한 승인절차를 공개하거나 합의제 방법을채택하는 등 운영방법의 변화로 특혜의혹과 같은 말썽소지를 사전 봉쇄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