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프랑스 의회는 불어 이외의 외국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상정해서 국내외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이는 불어의 순수성을 지킴으로써 '프랑스의 영광'을 재현 하려는 의지의 한 단면이라 할수 있겠거니와, 광복50주년을 맞은 우리의 언어 생활은 어떤 것일까. ▲여전히 와사비(고추냉이), 가봉(시침질)등의 왜색 잔재가 남아있는데다 가라오케등의 신조어까지 범람하는 마당에 뷰티샵, 스낵, 레스토랑등의 구미쪽 외래어마저 우리말로 정착된느낌이어서 우리 말은 이제 외래어의 홍수속에 표류하는 마음마저 드는 것이다. ▲게다가 지나친 약어의 구사는 우리말과 글을 더욱 격하 시키는 걸림돌의 또 하나 요소. 가령 "5티에 칼셋"(5번식탁에 칼국수 세그릇)이나 '불백'(불고기 백반) '비냉'(비빔냉면)등은 또 그렇다 치자. '곰보'(곰탕보통), '갈보'(갈비탕보통)쯤 되면 문제가 심각한 것이다. 설마 누가 이런 약어를 쓰랴마는 요즘 우리는 이 비슷한 약어를 무의식적으로 쓰거나 보아넘기고 있음을 종종 느끼는 것이다. ▲곁들여 요즘 우리 말은 가능한 한 강하고 거칠게사용되는 느낌이어서 문제로 지적된다. 부연컨대 앞서 말한 이들 세가지 요소를 우선 고치고 보완해야 우리말, 우리글이 빛을 더 할게 아닌가 생각된다. ▲이런 와중에 한국어 국제화추진협의회가 외국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을개발하고 한국어 토플시험제를 추진함으로써 한글을 국제어로 발돋움시키기로 했다한다. 훈민정음 창제 5백49돌만의 낭보라고나 할까.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