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노총 본격화·섬유불황등 부안요인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5대 총선, 민주노총의 정치활동 본격화, 섬유업계 불황등 노사관계 불안요인으로 내년 대구지역 노동계가 크게 어수선해질 전망이다.특히 정부가 노동계의 반발로 국회심의 과정에서 삭제된 근로자파견제를재추진키로 함에따라 이를 둘러싼 노정· 노사간 대립도 첨예화될 것으로 보인다.대구지역 51개 단위노조를 확보한 대구 민주노총추진위원회(대구 민노추)는 노동부의 법외노동단체 규정에 따른 노·정 갈등에도 불구, △15대총선독자후보 출마 △근로자파견제 도입저지등 현안문제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대구 민노추는 현재의 추진위원회 체제를 내년1월중 해체하고 내년 3월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로 공식출범, 통상 4~7월에 집중돼온 단체교섭을 총선이전인 3월로 앞당겨 총선정국을 임단협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또 그간단위노조별로 진행돼온 단체교섭을 임금하한선 책정을 통한 산업·업종별 공동교섭으로 전환시킬 움직임이어서 노사갈등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노동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또 △노조의 경영참여 요구 증대 △1백37억원에달하는 대구지역 체불임금 해결등과 맞물려 있다.

대구지방노동청 관계자는 "섬유경기 침체와 물가불안요인, 총선과 민노총의 정치참여 계획등 노사불안요인이 많아 내년 단체교섭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진수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