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년 문화'베일 벗는다."원삼국 시대 유물 2천여점이 다량 발굴, 신라 성립기를 규정할 귀중한 자료로평가받는 경주 사라리 고분군은 개발의 와중에 2천~3천여평이 훼손된 사실이본보 95년 10월 2일자(16면 참조)에 의해 고발되면서 발굴로 이어진 귀중한 유적이다.
경주시 서면 일대에 위치한 사라리유적을 발굴하고 있는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원장 이백규)은 이 유적에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 5동, 목관묘 6기, 목곽묘 74기등 1백36기의 유구를 확인했으며, 토기류 1천1백여점, 철기류 5백20점, 기타장신구류등 총 2천여점의 유물을 대량 수습했다.
이중 유구의 바닥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130호분의 피장자는 고대 삼보로 알려진 劍.鏡.玉과 재화의 의미를 지닌 판상철부(판모양 철 도끼, 길이 27~28㎝)를70여매나 부장하고 있어 정치 경제적으로 최고 首長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길이 3백25㎝, 폭 2백25㎝, 깊이 90㎝의 말각장방형(묘각을 만들때 모서리의 각을 좁히며 위로 쌓아가는 형식)의 묘광을 파고, 내부에 길이 2백5㎝, 폭 71㎝의목관을 만든 다음 길이 2백69㎝, 폭 1백20㎝의 목곽을 설치한 유관.유곽구조의130호분 목관과 목곽 사이에는 점성이 강한 흙을 작은 활석과 함께 채워넣었다. 바닥은 생토암반면을 이용하였으며 피장자의 허리부분에는 직경 70㎝ 정도로 파낸 요갱의 흔적이 확인된다.
지금까지 고고학계에서는 묘제상 관.곽의 문제에 대해 논란이 있었으나 이번에 유관, 유곽의 형태를 명확히 유지한 130호분이 발굴됨으로써 묘제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는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이백규조사단장(경북대 교수)은 이 유구가 목관묘사회에서 목곽묘사회로 전환되던 2세기 전후에 형성됐을 것으로 파악한다.
목곽에 철 항아리(구경 27㎝, 높이 50㎝) 1점만 묻은 것으로 미루어 아직 목곽이 부장 공간의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 는 관계자들은 130호분이 초기 목곽묘의양상일 것으로 추정했다.
목관 내부에는 7열로 70여매의 판상철부를 깔았으며, 머리부분의 목관 모서리양쪽에 판상철부를 각 1점씩 꽂아두고, 손잡이가 달린 세형동검(50㎝) 1점을 목관의 머리 오른편에 세워 둔 것은 피장자의 높은 지위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있다. 판상철부는 원삼국 시대의 특징인 철기생산 보급의 확산과 관련, 당시 화폐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목관안에서는 청동손잡이가 달린 동검 2점(56, 75㎝) 철검 1점(45㎝), 청동손잡이 머리장식이 달린 철검 3점이 함께 출토됐고, 청동팔찌 2벌과 호랑이 모양 허리띠 걸쇠인 虎形帶鉤(20㎝) 2점이 피장자의 허리부분 좌우에, 수정을 잘라 만든 옥 목걸이(70㎝)가 피장자 목부분에 2줄로 길게 이어져 있었다.
손잡이 달린 동검, 倣製鏡(동경), 호형대구등 다양한 청동유물이 원형을 유지한 채로 발견되어, 지금까지 출토상태 불명의 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청동기 문화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 이라는 관계자들은 사라리유적이 경주의 중심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정치력과 경제적 부를 상징하는 유물들을 매납한 것으로 미루어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의 강력한 정치력과 경제력,초기 신라문화의 우수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고 밝힌다.
한편 학계에서는 이 유적의 보존과 출토유물에 대한 보존처리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崔美和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