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후유증 한달째 계속

"출마자에 금품.향응 요구"

지난 4.11 총선 선거운동에 참여했던 자원봉사자나 당원들이 선거가 끝난지 한달이 지났는데도출마자들을 상대로 무리하게 금품이나 향응을 요구하고 취업을 부탁하는 사례가 줄어들지 않아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당선자나 낙선자를 막론하고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당원이나 자원봉사자의 지나친 요구로 인해 적지않은 총선 출마자들이 아예 지역구에 얼굴을 내밀수 없을 정도로 선거풍토 타락이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운동원들이 총선전 약속한 일당을 받지못했다며 집단항의농성도 벌이는 사례까지 여러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당선자들을 상대로 식사대접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심한 경우는 해외여행까지 시켜달라고 주문하고 있는 지역도 있으며 이같은 수고비, 활동비지급 주문에 응하지 않을 경우 차기 선거에서 조직을 송두리째 빼내가겠다는 위협을 서슴지 않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천 남구乙에 출마했다 낙선한 자민련 朴昌根위원장의 경우, 지난달 20일 주부선거운동원 18여명이 지구당으로 찾아와 선거운동기간중 3만~5만원씩을 받기로 하고 선거운동을 도와줬다 며 일당지급을 요구하는 항의농성을 벌여 곤욕을 치렀다.

또 대구 서갑구에 출마했던 ㄱ모 낙선자의 지구당 사무실에는 선거일인 지난달 11일밤 낙선이 확정적이자 선거운동원 수십명이 몰려와 일당 3만~5만원씩을 요구하며 사무실 집기를 부수는 등 집단 행패를 부렸다.

자민련 충북 청주 상당의 具天書당선자의 지구당에는 선거운동기간중 私費를 수백만원씩 썼다고주장하는 선거운동원 10여명이 노골적인 보상요구를 했으며 경기지역에서 낙선한 국민회의 P위원장의 경우에도 주부 자원봉사자 수십명이 거의 매일 지구당사로 찾아와 선거운동기간중 일당을합산한 60여만원씩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거운동원들의 이같은 무리한 요구에 대해 당선자나 낙선자 모두 현재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비용실사가 진행되는 만큼 돈을 줄 수 없다고 설득하고 있으나 요구가 계속되자 아예 몸을 피하는출마자가 적지않다.

출마자들은 이같은 금품요구를 거절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금품을 준 사실이 드러나면 선거법 위반혐의로 사법처리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일부에서는 이런 요구에 견디다 못해 은밀히 금품을 지급하고 사실을 감추고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선거운동원들이 돈을 받으면 일체 함구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하며 위원장들을 협박하다시피 하고있기 때문에 차기 선거까지도 생각해야 하는 당선자나 낙선자들의 곤란한 입장을 파고드는 선거운동관련 금품요구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총선에서 각 지구당이 읍.면.동 단위로 고용할 수 있는 유급선거사무원이 3명으로 제한돼 선거운동기간중 사후 보상을 기대하며 뛰었던 자원봉사자들이나 조직책들이 금품으로 보상을 받으려는데도 부분적인 원인이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