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國會개원후 野圈공조 어떻게 될까

"對與 공동전선 당분간 한마음"

개원정국 속에서 對與공동전선을 형성해온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공조체제가 국회에 들어가서도 그대로 유지될 것인가가 정가의 관심이 되고있다.

총선직후 선거부정 시비속에서 콘크리트 공조 를 자랑하던 두 야당의 유대는개원협상 막판에 접어들어 檢.警중립화 표현문제로 금이 가는 것처럼 보여 야권 공조의 장래를 놓고 비관론과 낙관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우선 낙관론자들은 국회가 정상화되더라도 지금까지 야권공조의 산물인 4.11총선 공정성시비 조사특위 와 제도및 법률개선 특위 라는 두개의 특위를 통해어쩔수 없이 공조를 계속해야 할 입장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제도개선특위에서 거론될 선거법 정치자금법 방송법등 5개 법률안은 두당의 정강.정책과는 상관없이 야당이라는 동질성때문에 차별화된 정책대안을제시할수 없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양당이 개원투쟁과 별도로 진행하고 있는 정책공조 또한 두 야당의 제휴를 이어갈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양당은 16개 분야에 걸쳐 공동추진계획을실천에 옮길것을 다짐한바 있다.

자민련 李廷武원내총무가 양당의 공조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사안별로 계속될것 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자민련이 선거관련 공무원 이라는 여당의 협상안에 야권공조를 깨고손을 들어준 것처럼 양당의 공조는 당리당략에 따라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비관론도 만만치않다.

여권이 개원협상 과정에서 자민련 인사 영입중단 과 같은 별도의 특약을 자민련에 해주지 않았느냐는 강한 의혹이 정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도 지속적 야권공조의 전망을 어둡게 보는 요인중의 하나이다.

즉 집권경험이 있는 정당이자 국민회의와 아무래도 색깔이 다른 자민련이 국민회의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하고, 국민회의 역시 뿌리가 다르다는 인식을 할 경우 야권공조는 한계를 보일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특히 국민회의 金大中총재가 15대 국회 후반기 與野를 포함한 거국내각구성제안을 통해 자민련 金鍾泌총재에게 지속적으로 손짓하고 있으나 자민련측에서우리는 우리 라는 답변을 계속하고 있는 것도 공조의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낙관론과 비관론이 교차하는 야권공조의 전망은 내년 대선을 마지막 기회라고생각하고 있는 두 金총재의 정국구상에 따라 달라질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