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들은 너무 서둔다. 빨리빨리 란 조급성이 대표적 국민성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천장위의 도둑을 梁上君子라 불렀던 느긋함과 넉넉함도 간곳 없다. 변죽을 두들겨 북의 중앙을 울게하는 은근과 끈기도, 사유의 산물인 상징과은유도 이미 우리것이 아니다. ▲1년 앞당겨 준공하려던 독립기념관이 개관 11일을 앞두고 불타 버렸을때 프랑스인 여동찬 외국어대 교수는 한국인의 조급성이 자초한 비극 이라 개탄했다. 한국에서는 독립기념관 참사같은 것이 여러번 터질수록 좋다. 그런 일들만이 내가 사랑하는 한국인들의 그 조급성과 과시욕을 고쳐줄수 있는 유일한 충격이기 때문이다 고도 했다. ▲무엇이 그리 급한가. 우리는 나타나는 현상에 민감하고 현상뒤의 파장에는 둔감하다.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위에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이미 저질러진 대형 참사들이 모두 조급성에서 출발했고 또 다른 실수와 사고들이 출발선상에서 있다. 우리에겐 오늘뿐이다. 내일을 볼수 있는 혜안이 없다. ▲마침 이화여대의대 李根厚교수는 대학생 5백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이란 설문조사를 한 결과 조급성 이 20.3%%로 한국인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부상했다고 한다. 감정이 앞서 합리적이지 못한 성격을 보인 것이다. ▲만약 新羅와高麗사람들이 우리처럼 조급했다면 토기와 청자가 오늘에 전해 졌을까. 우리는변변한 골동품 하나 후세에 전할게 없는 그런 조급성을 가지고 오늘을 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