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過猶不及이란 말이 있다. 논어先進篇에 나오는 말로서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는 뜻이다. 이것은 사람의 언행이 지나치게 과격하거나 미흡해서 시의에 적절치 못한 것을 뭉뚱그려 경계한 말로서 항상 스스로 절제해서 때와 장소에 맞는 언동을 해야한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당당하게 해야될 말 과 죽어도 못할 말 을 가릴줄 아는 것을 선비의 큰 덕목으로 꼽았던가 보다. ▲이런 측면에서 요즘 논란의 대상이 되고있는 경찰청장의 지휘서신 파문은 공직자의 언행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케 하는 대목이다. 朴一龍청장이라면 이미 지난번 大選때 부산 초원 복집사건에 연루, 정치성 짙은 공직자 로 국민들의눈에 각인되어 있는 사람이다. ▲그런데 이런 인물이 어떻게 새 정부 출범이후 중책을 맡았나 싶더니 이번에 다시 정치권의 현안인 檢.警중립화 문제에 끼어들어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있다. 물론경찰청장이 자기 조직의 구조를 바꾸는 문제에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國會特委에 나가서 참고인 자격으로 하면 될 일이며 아직은 그때가 아닌 것이다. ▲지금은 국민 대표들이 국회에서 욍

蔘냠글B의 법제화여부를 논의중에 있으므로 앞으로 결론이 내려지면 공직자 인 경찰청장은 그에 따르면 되는 것이다. 초원 복집사건이 뇌리속에 아직도 생생한데 朴청장은 여전히 過猶不及의 교훈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