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표류하는 渭川공단 무엇이 문제인가

"洛東江 수질빌미 시간벌기 의도"

부산측의 입장은 위천공단은 낙동강물이 맑아지고 나거든 하라 는 것이었다.그렇게 보면, 이홍구대표의 22일 발표는 부산시의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인 셈이다. 대구시가분통을 터뜨리기에 충분하다.

이대표는 대신 하폐수 처리 시설비 5천억원을 투자해 물맑히기를 앞당겨 주겠다 고 했었다. 그러나 이것은 대구시민 감정 무마용 발언으로 밖에는 안보인다. 대구시에서는 이미 대부분 환경시설을 건설 완료했기 때문에, 5천억원이라는 돈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나중에 밝혀진 것이지만,이 돈은 경남지역을 포함해 낙동강 전체 수계에 투입될 액수였다. 그런데도 마치 대구에 공짜로주는 것 같이 표현됐었다. 또 대구에 준다해도 이 돈은 공짜 가 아니고, 빚으로 빌려주는 것이다. 대구시는 이자를 물어야 하고, 그것으로 환경시설을 가동할 경우 그 막대한 운영비 부담도 추가로 해야한다.

그러나 이 시비 보다는 위천공단 지정-착공허용 시기를 언제로 하는 것이 타당하냐 는 부분이더 중요하다. 대구시와 중앙정부의 주장이 갈리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부분이다. 중앙정부는 부산의견을 받아들여 착공 시기 자체를 수질문제 해결 뒤로 하라 는 쪽이다. 그러나 대구의 주장은착공은 미리 하고, 가동은 수질문제 해결 뒤에 하겠다 는 식으로 대비된다.

대구시는 낙동강물 맑히기엔 5년이나 걸리고, 위천공단 건설에도 5년이 걸리므로, 합계 10년 후까지 기다려서는 대구 경제가 될 수 없다 는 입장이다. 따라서 낙동강 맑히기를 열심히 추진하되,위천공단 지정-건설을 미리 해 준다면, 낙동강물 맑히기 완료와 거의 동시에 위천공단 가동이 시작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래야 적어도 5년의 세월을 벌 수 있다는 복안이다.환경에 미치는 영향에서 본다면, 대구시 계획이나 부산 및 중앙정부측 요구가 거의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실천 과정을 두고 시비가 벌어져, 결국 중앙정부나 신한국당은 부산편을 들되, 대구를 무마해 보려는 요상한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더욱이 낙동강 물맑히기 사업은 대구시의 일이 아니라 중앙정부 자신의 일이기도 하다. 대구는 이미 자신이 배출하는 하폐수를 70%%까지 처리 중인 외에, 내년까지는 처리율을 1백%%로 높일 계획이어서, 이제 수질 문제와 관련해서는모든 임무를 다했다 고 주장해도 무리가 없을 단계에까지 이르러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