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大入주요변수 논술고사

"요약형.논술형 구분 특징"

97학년도 입시에서 각 대학이 학교생활기록부(學生簿)의 비중을 대폭 낮추면서대학수학능력(修能)시험과 논술고사가 당락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수능성적이 비슷비슷한 학생들이 같은 대학, 동일 학과에 지원한다고 가정하면 본고사가 없어진 내년도 입시에서는 논술고사 성적의 영향력이 어느때보다도 높아질 전망이다.

입시전문 대성학원이 11일 올들어 지금까지 각 대학이 치른 논술 모의고사를토대로 작성한 대학별 논술 실험평가 분석 에 따르면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들은 대체로 지문을 제시하고 이를 요약하거나 비교하는 문제와 제시된 내용을 토대로 자신의 견해를 개진하는 논술형 등 두 문제씩을 출제한다.

지난 9일 경인지역 수험생 4백여명을 대상으로 논술 모의고사를 실시한 고려대의 경우 인문계 및 자연계 공통논술 한 문제와 계열별 논술 한 문제 등 2개 문항씩이 나왔다.

기초적이고 포괄적인 표현력 및 사고력을 평가하는 공통논술은 60분동안 제시된 지문이나 자료 등 일정주제에 대해 8백자 안팎으로 논술하는 것.

이날 모의고사에서는 인간의 욕망이나 이성과는 달리 제3의 영역으로 동양전통사상에서 중시돼온 패기(覇氣), 의기(義氣), 호기(豪氣)…. 등의 기(氣) 를 설명한 다음 이 기가 우리의 생활속에 어떤 형태로 발현되고 있는지 예시하고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에대해 지문을 완성시키는 형식으로 서술하라는 문제가 나왔다.

또 내년 입시에 새로 도입되는 계열논술은 해당 분야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해정도, 종합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주제를 1천2백자 분량으로 작성하는 것.

인문계의 경우 예시문을 주고 절대적 평등과 상대적 평등의 두 관점에서 인간이 평등하다는 명제에 대해 적절한 논거를 제시하라 는 문제가, 자연계에서는비슷한 논리로 자신의 주장을 펴고 있는 두 예시문을 제시한 뒤 이들 논리에서 공동으로 지적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주어진 사안에 대해 보다 합리적인 판단에 도달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라 는 문제가 각각 출제됐다.

한편 이미 모의고사를 치른 연세대는 내년도 입시 논술시험에서 인문이나 자연등 계열 구분없이 요약형(통제형)과 서술형(비통제형)으로 나눠 두 문제를 출제한다.

요약형은 장문의 예문을 제시, 그 내용을 요약하거나 두 예문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을 비교 서술하는 것이며 서술형은 상반되는 논리에 대해 자신의 의견이나주장을 개진하는 것으로 제시문에서 어느 정도의 방향은 설정해준다.

서강대는 계열구분을 둬 인문.자연계에 공통으로 출제되는 일반공통논술과 계열별로 따로 출제되는 계열논술로 나눠 논술시험을 치른다.

예컨대 일반 공통논술은 두 시를 예문으로 제시하고 밑줄친 부분에 유의하면서 대조의 방법으로 서술하라 는 식이며 문학사적인 지식이나 문학평론에 대한이해정도보다 정확한 독해력과 글쓰기 능력을 테스트하는 것이 특징.

계열별 문제는 인문.사회계의 경우 모의고사에서와 같이 자료로 제시된 를분석하되 자기 주장보다는 논리적 분석과정에 비중을 둬야 하고 자연계는 제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서론, 본론, 결론을 작성하는 단독과제형에 가깝다는 점을수험생들은 유의해야 한다.

반면 성균관대는 계열구분 없이 대립되는 두 질문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경험을 예로 논지를 전개하라 거나 예문의 내용을 반박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개진하라 는 식의 일반논술형 한 문제가 출제된다.

이밖에 한양대는 계열공통 논술은 치르지 않고 인문계와 자연계로 구분, 각 2문제씩을 출제한다.

지난번 실시한 실험평가에서 인문계 1번문제는 일반논술 및 완성형, 인문계 2번문제는 통합교과형, 자연계 1번문제는 요약 및 통합교과형, 자연계 2번문제는일반논술형이었으나 실제 입시에서도 이같은 원칙이 지켜질지는 미지수.

한편 아직 논술시험 출제경향및 작성요령을 발표하지 않은 서울대(음.미대를 제외하고 대학별로 16~32점 배점)의 경우에는 96학년도 입시때와 비슷한 유형 및난이도의 문제가 출제될 것으로 입시관계자들은 전망했다.

서울대는 96학년도 입시 논술Ⅱ 과목에서 지문을 제시하고 스포츠의 어떤 특징때문에 스포츠가 집단구획 의식이 주는 현실적 독소를 대부분 중화시키고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채워주는지 를 쓰라는 문제를 냈다.

또 두번째 문항에서는 같은 지문에 담긴 인간의 가치관념과 행위성향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견해를 반박하거나 지지하고 집단간 갈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논술문을 요구했다.

서울대 우한용(禹漢鎔.국어교육)교수는 논술시험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책에서 읽은 내용을 현학적으로 나열하거나 신문 등 대중매체에서 얻은지식에 의존하는 경향 이라며 논술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심도있는 내용을논리적으로 전개해 설득력을 얻는 것 이라고 강조했다.

대성학원 이영덕(李永德)평가관리실장은 학생부 성적의 반영률이 대폭 낮춰진97학년도입시에서는 수능성적에 의해 대체적으로 지원 대학과 학과가 정해지고논술시험에서 당락이 결정될 것 이라고 내다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