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釜山·慶南도의 폐수방류

부산.경남지역 중.소규모 정수장 75%%가 폐수처리시설을 설치않고 정수장 폐수를 하천에 불법방류하고 있음이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이들 폐수는 부유물질농도가 BOD 1천5백~2천PPM 수준이며 정수장응집제로 사용하는 황산알루미늄이다량함유돼 인체에도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더구나 환경부가지난 93년과 94년 두차례에 걸쳐 폐수처리시설을 할것을 부산시와 경남도에 지시했으나 묵살된채 이들 폐수를 무단방출하고 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낙동강수질오염을 지방자치단체가 앞장서 재촉하고 있는 꼴이다.낙동강수질오염을 이유로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을 반대하던 부산.경남의 반대이유가 자가당착임이 증명된 셈이다. 낙동강하류지역의 수질오염이 상류지역의잘못만이 아님은 이미 95년 환경부의 수질측정자료에서 밝혀진바가 있다. 부산.경남지역의 하수처리시설 부족과 함께 지역세천에서 흘러나오는 생활하수와 축산폐수등으로 하류지역의 오염이 심화되고 있음이 측정수치로 나타났다.

이번 국감에서 밝혀진 정수장폐수는 주민들의 생활오.폐수와 함께 지방자치단체도 낙동강오염에 동참하고 있음이 밝혀진것이다. 정수장 폐수처리를 위해서는 정수장마다 2백만원정도의 예산만 투입하면 된다고 하는데도 두차례의 시정명령도 어기고 있으니 부산.경남도의 낙동강 수질보호 의지를 의심하지 않을수없다.

부산.경남도는 낙동강오염을 대구.경북만 탓할것이 아니라 관할구역부터 앞장서수질오염방지에 힘쓸것을 당부한다. 차제에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기위해 상하류가 공동으로 수질개선에 힘쓰는 모습을 보여야할것이다.

대구시가 1백%%의 하수처리를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부산은 지금까지 45%%의 하수처리율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정수장마저 폐수처리를 하지 않았다면 지역주민은 물론 상류지역 주민들에게 수질개선을 요구할 수 있겠는가.

공익사업이 모두 그렇듯 수질개선을 부르짖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솔선수범을 해야 국민이나 주민들이 따르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수질개선에 소홀하면서 주민들에게 생활하수나 폐수를 무단 방출하지 말것 을 아무리 되뇌어도헛구호에 그칠뿐이다.

상류지역에서 아무리 맑은물을 하류로 보내더라도 하류지역의 수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하천오염은 어쩔수 없는 것이다. 부산.경남도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사항을 명심하면서 수질오염 원인을 상류지역탓만 말고 내잘못도한번 생각하길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