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 코넬대학의 데이비드 M 리, 로버트 C 리처드슨, 스탠퍼드대학의 더글러스 D 오셔로프교수는 70년대 일련의 실험을 통해헬륨-3 (보통 헬륨의 동위원소)이라는 물질이 초유동 현상 을 보인다는 것을처음으로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헬륨은 보통 기체상태이나 온도를 낮춰주면 액체상태로 변하며 헬륨-4로 불리는 보통 헬륨은 절대온도 0도( 섭씨 영하273.15도)에 이르면 특이한 성질을 나타낸다.
헬륨은 액체로 변해 상호간의 점성이 없어져 미세한 구멍이 생겨도 쉽게 빠져나가고 컵에 담아두면 얇은 막을 이뤄 컵 벽면을 타고 넘쳐 흘러버린다.
과학자들은 1930년대 헬륨의 이같은 성질을 발견, 이를 초유동 현상 이라 이름짓고 그후 이를 설명하는 이론 개발에 열중했다.
하지만 보통 헬륨과 성질이 전혀 다른 헬륨-3(양성자 2개와 중성자 1개로 구성됨)은 70년대초까지도 초유동성을 갖지 못한다고 여겨졌으나 리 교수팀은 절대온도 0.002도(1천분의 2도)에서 헬륨-3도 초유동 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당초 목표가 헬륨을 고체화하는 것이었던 리 교수팀의 뜻하지 않은 이같은 발견은 저온물리학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계기가 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