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97대입 修能시험 출제경향 분석

"思考능력 측정에 주안점"

97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험은 지난해에 비해 문항수가 2백개에서 2백30개로, 시간도 총 3백60분에서 3백90분으로 30분 늘어났으며 배점도 2백점에서 4백점으로 바뀌는 등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특히 이번 입시부터 대학별고사가 폐지되고 학교생활기록부 반영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되도록 변별력을 높여 수험생 개개인의 능력이 정확하게 측정되도록 출제했다는 것이 국립교육평가원측의설명이다.

◇출제 기본방향

고교 교육과정 운영이 정상화되고 사고중심의 교수-학습이 이뤄지도록 하기위해 현행 고교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기본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여러 문제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차적인 사고능력을 측정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시험범위는 고교 전과정으로 하고 난이도 수준은 상위 50%% 학생들의 평균정답률이 50~60%%가 되도록 했으며 상.하위 각 집단내에서 개인차의 폭이 크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변별력을 높였다.또한 작년과 마찬가지로 문항의 차등배점을 실시, 교육과정상 중요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문항과사고의 수준이 높고 복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항의 배점을 높였다.

◇언어영역

문항수가 60문항에서 65문항으로, 총배점이 60점에서 1백20점으로 각각 늘어나고 시험시간은 90분에서 1백분으로 늘어났으나 지문수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0개만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시간에 쫓기는 일이 없도록 했다.

문항별 배점은 중요도에 따라 1.6점, 1.8점, 2점 등으로 차등배점했으며 문학적인 글과 비문학적인글의 비율은 예년대로 3대7이 되게 했다.

기본적으로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통해 독서체험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는데 주안점을 뒀으며 특히 이번에는 통합적인 성격을 더욱 강화했다.

특히 44번 문항의 경우 과학적 진술을 시적인 상황에 응용하는 것으로써 통합의 성격을 더 강화한 예이다.

듣기평가에서는 일상 언어생활, 대학에서의 강의이해 등에 필요한 구두언어 이해능력을 측정하기위한 문제를 출제했으며 쓰기평가에서는 글쓰기를 위한 사고과정과 글을 논리적으로 구성할 줄아는 능력 등을 평가하고자 했다.

◇수리.탐구Ⅰ(수학) 영역

문항수는 30문항으로 변함이 없으나 시험시간이 1백분으로 10분이 늘어 문항당 평균 풀이시간은3분에서 3.3분으로 늘어났다.

중.상위권수험생들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주관식 단답형 문항을 전체의 20%인 6문항 출제했다.총배점은 40점에서 80점으로 문항당 차등배점은 1-1.5-2점에서 2-3-4점으로 상향조정하되 문제해결력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항에 높은 배점을 원칙으로했 다.

일반수학과 수학Ⅰ에서 70%%내외를 인문.예체능계및 자연계 공통으로 출제하고 나머지 30%%내외는계열별로 나눠 인문계의 경우 일반수학과 수학Ⅰ에서, 자연계의 경우 수학Ⅱ에서 출제했다.◇수리.탐구Ⅱ(과학.사회)영역

문항수 60문항에서 80문항으로, 배점은 60점에서 1백20점으로, 시험시간은 1백분에서 1백10분으로확대됐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배점비율은 인문및 예.체능계 6대4, 자연계는 4대6으로하고 사회탐구는 인문계에 한해 67%%내외를 계열공통, 33%%내외를 계열별로, 과학탐구는 자연계에 한해 67%%내외를계열공통, 33%%내외를 계열별로 각각 출제했다.

특히 단일지문에 여러문항의 문제를 출제하는 소위 세트문항이 많이 늘어난 것과 복합적인 사고를 요하는 통합교과형 문제를 96학년도 수능에 비해 20%%가량 늘린것이 특징이다.문항당 배점은 0.8-1-1.2점이던 것을 평가내용의 중요성, 정산과정의 복잡성, 난이도 등에 따라1-1.5-2점으로 차등화했다.

◇외국어(영어)영역

문항수를 50문항에서 55문항으로, 배점을 40점에서 80점으로 늘렸다.

배점은 0.6-0.8-1점에서 언어기능별(듣기.말하기.읽기.쓰기)로 분리, 난이도에 따라 1-1.5-2점으로상향조정했다.

외국어교육 강화시책에 따라 듣기문항수는 전체문항의 31%%인 17문항(듣기평가 12문항, 말하기평가 5문항)으로 작년보다 4문항 늘리고 시험시간도 15분이내서 20분이내로 연장했다.특히 듣기평가에서 현행보다 발화문의 길이와 정보의 양을 조금 더 늘리고 정답의 단서가 되는내용의 반복을 줄임으로써 난이도를 높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