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방사능물질 누출 막아라

국내유일의 중수로 원전인 월성1호기에서 국내의 다른 경수로 원전에 비해 1백배이상의 방사능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원자력안전기술원의 측정결과 밝혀졌다. 원자력안전기술원에 따르면 월성1호기가 지난해 대기와 바다에 방출한 방사능 물질의 총량은 모두 3만6천8백15큐리로 다른 경수로원전 1기당 연방출량 3백24큐리보다 1백13배나 많았다. 이중 수소폭탄의 원료인 삼중수소의 경우1만6천5백12큐리를 내보내 다른 국내 원전보다 60배가 많았다. 특히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지난 92년부터 95년까지 월성1호기로부터 20㎞나 떨어진 지역의 삼중수소를 매달 측정한결과 빗물, 식수,식물, 대기, 토양수, 우유등에서 자연계농도보다 훨씬 높은 삼중수소가 검출돼 월성원전지역 일대가 방사능물질로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물질 누출은 결코 있어서는 안되며 이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이 원전의 불문율이다. 그런데도 이같이 다량의 방사능물질이 방출되는 것은 원전의 안전 규칙을 무시한한전측의 안이한 대책때문이다. 월성원전 주변에서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기형송아지 기형강아지출산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밝혀진 방사능물질 누출사실은 주민들에게 더 큰 불안을 주고있다.

한전당국은 현재의 삼중수소방출은 발주처인 캐나다 현지원전에서도 있는 일이며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지만 책임회피일뿐이다. 캐나다형 중수로 원전은 지난84년, 88년, 92년에대형중수누출사고가 발생해 안전성 자체가 문제가 되고 있다. 한전은 월성원전1호기 종사자들에게 삼중수소의 피폭량을 줄이기위해 얼음봉지를 담은 마스크를 착용시키는등 체내흡입을 막으려했던 것으로 알려져 방사능누출의 심각함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따라서 정부와 한전은 미리 방사능누출에 대비했어야 한다. 발주처인 캐나다가 삼중수소제거설비를 요구했는데도 설치비과다를 이유로 이를 거부한 사실은 더욱 납득이 안간다. 설치비가 아무리비싸더라도 대안이 없는 한 안전을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일이다. 제거설비는 자체개발을 통해2005년에나 완공예정이라고 하니 그때까지 주민들은 방사능물질누출에 무방비상태이다.기형가축 출산등으로 불안한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빠른 대책이 있어야 한다. 환경단체들의주장이 아니라도 방사능오염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공개적이고 과학적인 안전진단을 하루 빨리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방사능물질누출을 막을 수 있는 빠른 방법도 모색해야 한다. 방사능물질누출제거방법이 없다면 가동중단도 불가피한 것이다. 방사능물질누출이 확인된 이상 주민들을무방비상태로 방치할 수 없다.

정부와 한전은 비상대책을 세워서라도 방사능피해에서 주민을 보호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