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정상회담 관련 반주석 일문일답

반기문(潘基文) 청와대외교안보수석은 24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사과가 없더라도 4자회담설명회가 가능하다는 정부방침이 논의된 것은 아니지만 이는 유효한 것"이라고 밝혔다.다음은 반수석이 김영삼대통령과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간의 마닐라 정상회담결과를 발표한뒤 가진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요지.

-공동언론발표문에서 북한측의 납득할 만한 조치를 촉구한 대목이 뒤로갔는데.▲우선순위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으며 양국 정상이 수락할 수 있는 조치를 북측에 촉구한 것이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회담전에 밝힌대로 북한의 사과가 없더라도 4자회담 설명회가 가능한다는 입장은 유효한가.▲이 문제가 정상회담에서는 제기되지 않았지만 유효하다. 어떠한 수준이 우리가 납득할 수 있는조치인지는 상황진전을 봐야한다.

-양국간에 입장차이가 있는것 아닌가.

▲클린턴 대통령도 여러차례 납득할 만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이야기했다.-그러면 현재 보류중인 경수로사업과 관련, 의정서 공식서명도 하는가.

▲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설명회에서 북한이 사과하면 우리 정부에 한 것으로 볼 수 있나.

▲우리에게 직접 사과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참여전망을 어떻게 보는가.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과거에 여러차례 참여를 시사했다.

-설명회 참가를 전제로한 북한의 경제제재 해제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나.▲구체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지 않았다.

-사과의 수위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정하고 있나.

▲이에대해 이야기하지 않겠다. 정치나 외교문제는 조건을 딱부러지게 얘기하면 더이상 진전이힘들다. 또 아직 북한이 수용한다는 입장을 보인게 아니다. 북한이 빨리 대화에 나오기를 기대한다.

-4자회담 설명회는 북한의 사과와 시인이 없어도 되는가.

▲예를 들어 북한이 4자회담이나 설명회에 나온다고 할 경우 이를 막을수는 없지않느냐. 경수로사업의 경우 신변안전조치등이 있어야하지만 4자회담의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