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기술'이전 선진국 "떨떠름", 개도국 "대환영"

"UN환경총회 '뜨거운 감자' 부상"

환경보호와 관련한 공공기술 이전문제가 유엔총회에서'뜨거운 감자'로 등장하면서 참가 국가간논쟁이 한창이다.

지난 92년 리우회의때 잠시 거론됐던 이 문제는 선진국들의 소극적인 태도때문에 그동안 메아리없이 묻혔다가 이번 유엔 환경총회에서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제안,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환경기술 이전의 골자는 한마디로 각국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갖고 있는'노하우'를 다른 나라에도 넘겨주면서 범지구적인 차원에서 환경을 보호하자는 것.

이같은 제안에 대해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이 부족한 개도국들이 즉각 찬동하고 나선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선진국들의 입장에서는 마치 떫은감 씹은듯 입맛이 쓰다.힘을 합쳐 지구환경을 살리자는 취지야 충분히 납득되지만 막대한 자금을 들여 개발한 신기술을그냥 내주기는 억울하다는 인식에서다.

우리나라는 이 의제가 채택되면 한국과학기술원이 개발한 프레온가스 대체물질 제조기술을 무상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한국과 미국 등 일부 국가서만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현재 중국, 말레이시아 등 개도국들은 말할것도 없고 일본, 네덜란드 등에서도 이 제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유엔개발기구(UNDP)등에서도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환경보호 기술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잡느냐는 것인데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자동차 제조기술과 첨단에너지 재생기술 등도 포함된다는 얘기다. 선진국들이 극히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먼저 치고 나간 우리의 제안이 참가국들의 절대적인 호응을 받아 채택된다면 국제사회에서 얼굴을 세우게 될 것으로 보인다.

〈뉴욕·吳起煥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