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실시된 미대통령선거와 의회 선거과정에서의 민주당 선거자금 불법모금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의회차원의 조사가 8일 상원 정부문제위원회 청문회 개막을 계기로 본격 시작됐다.지난해 선거에서 루즈벨트 프랭클린 이후 민주당 대통령으로는 52년만에 재선에 성공한 빌 클린턴 대통령의 재집권 정당성 여부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는 이번 청문회는 조사결과에 따라 엄청난충격파를 몰고올 가능성이 있어 미정가의 관심이 한층 증폭되고 있다.
이번 청문회는 상원 특별조사위원회로 선정된 정부문제위원회(위원장 프레드 톰슨) 주관으로 이달말까지 약 3주일여동안 계속된다.
상원 정부문제위원회는 첫날인 8일 공화당 소속 9명과 민주당 소속 7명의 위원들로부터 이번 청문회와 관련한 각당의 입장과 소신을 들은데 이어 9일부터 본격적인 증인.참고인의 증언을 청취하게 된다.
정부문제위원회는 이를위해 공화당이 요구한 1백68명과 민주당이 요구한 24명등 모두 1백92명의증인.참고인을 대상으로 소환장을 발부했으며 향후 필요에 따라 소환대상자를 계속 늘릴 방침이다.
특히 이번 청문회는 지난 74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사임을 몰고온 워터게이트사건 이후 23년만에 현직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고 있는데다 앨 고어 부통령까지 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어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청문회에서 집중적으로 파헤쳐질 의혹은 민주당이 지난해 선거과정에서 외국계 자금 등의불법헌금을 조직적으로 계획했는지, 또 이 과정에서 클린턴 대통령을 비롯한 당지도부가 관계됐는지의 여부이다.
공화당은 민주당 선거본부 관계자들이 10만달러 이상 거액 헌금자들을 대거 백악관으로 초청, 이른바 '링컨침실'에서 숙식을 제공하는가 하면 클린턴 대통령과의 다과회를 주선한 점에 비추어클린턴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헌금과정에 깊숙이 개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공화당 일각에서는 "이번 청문회 조사결과에 따라서는 클린턴 대통령의 탄핵이 불가피할지도 모른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다음으로 미의회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중국정부가 미국선거에 영향을 미치려했다는 이른바 '차이나 커넥션'설이다.
지난해 불법헌금 과정에서 중국계 자금이 미국내외에서 조직적으로 클린턴과 민주당 선거진영에흘러들어간 사실이 밝혀진 데에는 '막후 공작'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와관련, 민주당 재정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선거과정에서 외국계 자금을 끌어들이는데 앞장선주역인 중국계 미국인 존 황의 역할이 단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존 황은 그동안 인도네시아의 중국계 재벌 '리포그룹'의 헌금을 주선한 것을 비롯, 지난해 선거과정에서 총 3백40만달러를 민주당 선거진영에 끌어들였으나 이중출처가 의문시되는 1백60만달러가반환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