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외·수박·딸기·포도 등 특작농산물의 재배기술이 보편화되면서 마진폭 감소와 함께 과잉생산에 따른 값폭락 현상이 특작농산물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농림부의 '올 채소 생산실적'에 따르면 참외, 딸기, 포도 등 경북지역특작농산물의 경우 최근 5년사이 국내 재배면적이 품목당 최고 30∼40%%씩이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성주지역 참외의 경우 지난91년 경북도내 재배면적이 전국의 60%%를 차지했으나 최근 경남·경기·충남 등 여타지역으로 재배기술이 파급, 국내전체 재배면적이 36%%나 증가했다.이때문에 올해 참외생산량이 29만t으로 지난91년 20만t에 비해 9만t이나 과잉생산됐고, 수박면적도 3만ha에서 지난해 3만9천ha로 30%%가 늘어나 생산량이 72만t에서 87만t으로 증가했다.이에 따라 가격도 참외가 지난91년 15kg박스당 평균출하 가격이 4만∼5만원대였으나 올해는 3만∼4만원대로 하락했고, 수박은 4.5kg 개당 가격이 8천∼9천원에서 5천∼6천원대로 떨어졌다.딸기도 올해 전국재배면적이 7천1백ha로 5년전 보다 1천ha이상 증가, 올초 고령 딸기출하로 출하가격이 kg당 3천∼3천5백원까지 떨어져 생산비 2천5백원대를 위협하는 결과를 빚었다.김천지역의 시설포도도 충북 옥천, 충남 논산지역 등 전국 2만6천ha에서 35만∼40만t을 생산하는바람에 10kg 상자당 가격이 8만∼9만원하던 것이 올 현재 캠벨은 5만원, 거봉은 6만원대로 하락했다.
농림부 관계자는 "최근 이들 특작농산물 재배기술의 전달속도가 빨라 불과 3∼4년 사이에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과잉생산과 가격폭락을 막기위해서는 지역특산물의 다양화와 재배기술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성주·金成祐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