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핵심산업 투자과잉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반도체 등 우리나라 핵심산업 모두가 과잉 설비투자로 채산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8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설비투자 현황 및 대응방안'이란 보고서에서 국내 주요산업은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과잉설비율이 최고 20%%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과잉설비율이란 시설능력이 수출과 내수를 합한 총수요를 충족시키고도 남는 불필요한 생산설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업종별로는 자동차 및 직물산업이 이미 20%%를 넘어섰고 석유화학 및 조선산업이 12~15%%, 반도체 및 철강산업이 4~6%%에 이르고 있다.

또 이같은 과잉 설비투자는 이들 업종의 채산성 악화에 상당한 요인으로 작용해 채산성의 지표인전체산업의 설비투자액 대비 경상이익은 지난 90~95년중 일본이 12%%인 반면 한국은 6%%로이익률이 일본의 절반에 불과했다.

금융연구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의 장치산업 위주의 중화학공업에 대한 집중투자는여전해 지난 95~96년 사이 설비투자중 중화학공업은 일본이 64%%인 반면 한국은 이보다 12%%포인트나 높은 76%%에 달했다고 밝혔다.

금융연구원은 아직까지는 국내 산업별 과잉설비수준이 산업합리화 지정 등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삼성의 자동차산업 투자 등 현재 계획중이거나 진행중인 설비투자 규모를 감안하면 이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鄭敬勳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