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한국 反李 국민연대 협의체 계획

신한국당 반이회창측에서 최근 '국민연대 협의체'라는 용어가 자주 거론되고 있다.정확히 말하면 '신당 창당을 위한 국민연대 협의체'다. 민주계는 최근 수차례토론을 거쳐 협의체를 구성키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반이진영이 분당(分黨) 등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구상중인 시나리오중 한부분이다.즉 반이측이 집단 탈당한뒤 만들 준정당 성격의 결사체다. 반이측이 새 정당을 만들기 전에 둥지로 사용할 '가건물'인 셈이다.

이들이 탈당후 곧바로 정당을 만들 수 있는데도 굳이 결사체를 발족하려는 데는 숨은 의미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 반이측이 특정후보나 정파에 쏠려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겠다는 계산이다. 이렇게 되면'반DJP 세력'을 결집하는데도 큰 힘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듯하다. 처음부터 특정후보에 편향된 인상을 줄 경우 세확산에 제동이 걸릴게 뻔하기 때문이다.

반이측 수뇌부는 조 순총재의 민주당과 이인제전경기지사의 국민신당(가칭), 통추세력 등을 하나씩 흡수하겠다는 생각이다.

여기에는 반이측 내부에서 생각이 다른 의원들의 반발도 무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도 깔려있다.

만약 '국민연대 협의체'가 특정 정당이나 후보밑으로 들어갈 경우 상당수 반발이 있을게 불보듯뻔하기 때문이다.

현재 반이측 내부의 기류는 절반 정도는 이인제지지파, 나머지는 조 순총재와 제3의 대안론으로나뉘어 있다.

또 반이측의 단계적 탈당을 염두에 두었다는 분석도 있다. 협의체를 만들어 놓으면 탈당파들이노선차이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합류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협의체 운영도 중진들 중심의 집단지도체제 형식으로 운영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