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버스업계 자구노력 보여라

시내버스 업계가 또다시 운행중단이라는 카드를 빼들었다. 시민의 발을 볼모로 요금인상 요구를받아들이라는 위협에 다름 아니다. 버스조합이 내세우는 요금인상의 첫번째 근거는 기름값 인상.여기에 CCTV설치에 따른 추가부담, 지하철 운행에 따른 운송수입금 감소, 지난해 요금인상 때운송원가 미반영분 등을 덧붙였다.

하지만 버스조합의 논리는 모두가 고통을 나눠야 할 IMF시대에 '나만 살겠다'는 이기주의에 빠져있다는 지적이 많다. 기름값이 크게 오른 것은 사실이지만 조합은 유가인상의 부담을 고스란히 요금에 반영하자는 주장이다. 반면 인력과잉과 그에 따른 인건비 과다 등 경영부실은 업계 내부에서조차 인정하는 문제인데도 감량경영이나 구조개선 등 자구노력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사실 CCTV는 기사들의 삥땅을 방지한다는 업계측의 실리가 더 크다. 그런데도 그 부담을 시민에게 넘기는 것은 아귀가 맞지 않는다.

지하철로 인한 수입금 감소도 버스조합이 자초한 면이 크다. 대구시는 지하철 개통전에 버스노선개편안을 만들어 시행하려 했다. 이를 막은 것은 바로 버스조합이다. 이마저 요금인상에 반영하려드는 것은 설득력을 갖기 힘들다.

버스요금에 관한 논의를 시민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상황은 거꾸로다. 최근 승용차를 버리고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이 크게 늘어났다. 오히려 요금을 내릴 수도 있는 요인이다. 기름값이 올라 요금을 올린다면 기름값이 내릴 때 요금을 내린다는 약속이 전제돼야 한다.

특히 경영체질 개선, 수입금 투명성 확보는 시민들의 정당한 요구인데도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운행시간, 배차간격 등 서비스가 눈에 띄게 나아지지도 않는다. 요금을 더 내야할 이유가 거의 없는 것이다.

버스요금 결정권을 가진 대구시의 현재 입장은 '다른 도시의 상황을 봐가며 결정하겠다'는 정도다. 정권말기 무책임과 나태에 빠진 재경원과 건설교통부는 물가잡기를 포기한듯 시외버스 요금을20%% 넘게 덜컥 올려줘놓고 시내버스 요금은 지방정부에 떠넘기고 있다. 시장이 없는 서울시는업계 주장에 떠밀려 얼렁뚱땅 요금을 올려줬다.

따라서 지금쯤 대구시가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객관적인 근거나 설득력 있는 자구노력은 외면한채 시민을 볼모로 내세우는 버스조합의 이기주의에 끌려가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어쨌든 버스운행이 중단돼서는 안된다'는 과거 대구시의 요금인상 논리도 이젠 바뀌어야 한다.

〈金在璥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