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땔감 불법벌목 연중 감시강화

안동 농촌지역에 아궁이가 다시 등장, 땔감용 나무를 불법 채위하는 사례가 잇따라 30년 치산사업을 망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있다.

안동시의 경우 최근 2개월 사이 1천여 농가가 아궁이를 새로 설치, 전체 아궁이 사용가구는 안동시 전체 가구수의 14%%인 7천3백가구에 이르고 있다.

영양군은 아궁이 설치 희망농가에 가구당 40만원씩 보조금을 지급하며 장려에 나서는 등 농촌가정 연료소비 패턴을 아궁이시대로 되돌려 놓고있다.

이같은 추세속에 상당수 농민들이 수종과 수령을 가리지 않고 손 쉬운 대로 화목을 채취하는등남벌현상이 빚어지고있다.

안동시 일직면 이모씨(40)는 "주민들이 땔감으로 성목은 물론 심은지 5년정도인 머진나무까지 잘라내고 있다"고 말했다.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와 북후면 옹천리 일대에서도 일부 농민들이 30년 이상된 소나무 밑둥치를잘라 두었다가 인적이 뜸할때 위장해 집으로 나르고 있다는 것.

이같은 사례는 경북북부지역 농촌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화목전용 보일러가 보급되면산림피해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남부지방산림관리청은 경남·북 전역 국유림 22만㏊에서 간벌 등으로 나온 부산물 3만여t을땔감용으로 무상 공급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기동단속반을 구성, 연중 감시활동을 강화키로 했다.

〈鄭敬久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