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가 생후 4~6개월이 되면 발육이 빨라지면서 월간으로 이가 나고 근육과 신경계가 발달하기시작한다. 체중도 6~7kg이 돼 모유나 분유만으론 영양이 불충분하게 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이유식. 이유의 목적은 유아발달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 철분, 비타민결핍 예방과 올바른 식습관형성을 유도하는 데 있다.
특히 장기간의 모유 혹은 분유식은 철분결핍을 초래하기 쉬운데 신체 발달기에 철분이 모자라면빈혈과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며 식욕저하나 짜증을 잘 내는 성격이 된다.균형된 영양을 위해 모유영양아는 고단백이유식이, 분유영양아는 고탄수화물이유식이 바람직하다.
이유식은 반드시 숟가락으로 떠먹이는 것이 원칙이다. 흔히들 이유초기에 유아들이 음식물을먹이면 혀로 밀어내는 듯 입가로 흘리게 된다. 어머니들은 이를 음식을 싫어하는 것으로 오해,젖병에 이유식을 섞어먹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곤란하다.
유아가 음식물을 밀어내는 것은 의도적 행동이 아니라 혀운동능력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 받아 먹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포기하지 말고 잠시 쉬었다 다시 먹이면 잘 먹게 된다.
이유는 생후 4개월에서 1세에 걸쳐 이뤄지며 편의상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눈다.초기(생후4~6개월)는 하루 한번 미음이나 계란노른자, 야채, 과일을 으깨 먹이며 모유.분유외 음식에 습관을 들이는 시기다. 충분한 양을 먹지 못하는 시기이므로 모유나 분유를 보충해 먹인다.중기(생후7~9개월)는 묽은 죽, 으깬 야채나 생선등 반고형식을 하루 2번 준다.후기(생후10~12개월)는 죽밥, 잘게 썬 야채, 다진 고기 등 고형식을 하루 3번 준다.이유초기에는 여러가지 음식을 섞지 말고 한번에 한 음식을 주는 것이 좋다. 새 음식을 첨가할 땐1주일 간격을 두고 시행하며 설사, 구토, 피부발진등이 나타나면 중지시킨다.
모유영양아와 분유영양아는 장내 세균층 형성이 다르므로 처음 이유를 시작할때 음식물에 따라설사나 변비가 생길 수 있으나 자연스런 일이다. 어머니의 세심한 관찰로 알레르기 음식은 피할수 있다.
이유식의 조리는 위생적이어야 하며 소금,설탕은 첨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유식에 염분을넣으면 성인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동물실험보고가 있다.
특히 이유식은 영양측면 뿐아니라 바른 식습관을 가지도록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편식, 다량의이유식, 영양불균형은 비만아기를 만들 수 있다.
〈禹文基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