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끓이는데 반드시 불이 필요할까. 그렇지 않다. 얼음물로도 물을 끓일 수 있다. 열이 아니라기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선 끓는 물을 투명한 음료수병에 반정도 넣고 15초 정도가 지난 뒤 뚜껑을 완전히 밀폐시켜 거꾸로 세운다. 병속에서 물이 끓는 현상이 멈추면 찬 얼음물을 음료수병에 부어보자. 그러면 식어가던 물이 다시 보글보글 끓게 된다.
다시 뜨거운 물을 병속에 넣고 미지근한 물이나 뜨거운 물을 부어보면 얼음물을 부었을 때와의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병속에 넣는 뜨거운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용기를 페트병, 유리컵 등으로 바꿔봐도 차이가 난다.
얼음물로도 물이 끓는 이유는 찬물을 병에 부을 때 병속의 공기온도가 내려가 기압이 낮아지기때문이다.
물은 항상 1백℃에서만 끓는 것이 아니라 기압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기압이 낮아지면 물의 끓는 점이 100℃ 이하로 내려가 낮은 온도에서도 끓게 되는 것이다.음료수병 뚜껑이 잘 열리지 않을 때 뜨거운 물에 넣으면 잘 열리는 현상이나 높은 산에서 돌을솥위에 올려놔야 밥이 잘 되는 것도 기압의 차이 때문이다. 이를 이용해 발명된 것이 압력솥이다.솥속의 압력을 높게 하면 끓는 점이 높아지므로 밥이 잘 되는 것이다.
실험을 할때는 아이들이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는 일이 없게끔 아빠, 엄마가 주의해야한다.도움말 : 이삼식 대구시 과학교육원 교사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