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끓이는데 반드시 불이 필요할까. 그렇지 않다. 얼음물로도 물을 끓일 수 있다. 열이 아니라기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선 끓는 물을 투명한 음료수병에 반정도 넣고 15초 정도가 지난 뒤 뚜껑을 완전히 밀폐시켜 거꾸로 세운다. 병속에서 물이 끓는 현상이 멈추면 찬 얼음물을 음료수병에 부어보자. 그러면 식어가던 물이 다시 보글보글 끓게 된다.
다시 뜨거운 물을 병속에 넣고 미지근한 물이나 뜨거운 물을 부어보면 얼음물을 부었을 때와의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병속에 넣는 뜨거운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용기를 페트병, 유리컵 등으로 바꿔봐도 차이가 난다.
얼음물로도 물이 끓는 이유는 찬물을 병에 부을 때 병속의 공기온도가 내려가 기압이 낮아지기때문이다.
물은 항상 1백℃에서만 끓는 것이 아니라 기압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기압이 낮아지면 물의 끓는 점이 100℃ 이하로 내려가 낮은 온도에서도 끓게 되는 것이다.음료수병 뚜껑이 잘 열리지 않을 때 뜨거운 물에 넣으면 잘 열리는 현상이나 높은 산에서 돌을솥위에 올려놔야 밥이 잘 되는 것도 기압의 차이 때문이다. 이를 이용해 발명된 것이 압력솥이다.솥속의 압력을 높게 하면 끓는 점이 높아지므로 밥이 잘 되는 것이다.
실험을 할때는 아이들이 뜨거운 물에 화상을 입는 일이 없게끔 아빠, 엄마가 주의해야한다.도움말 : 이삼식 대구시 과학교육원 교사
댓글 많은 뉴스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르포] '추진력' 이재명이냐 '청렴' 김문수냐…경기도 격전지 민심은?
'이재명 대세론' 역전 카드…국힘 "사전 투표 전 이준석과 단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