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특감, 암행감찰, 집합교육에다 지방선거 이후 대대적인 인원감축설까지 나돌면서 경찰.구청등 일선 공직사회가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이때문에 공직자들 사이에는 '정해진' 업무외에는 거들떠보지 않으려는 복지부동 풍조가팽배하고 대민업무가 지연되는 등 부작용이 불거지고 있다.
더욱이 공직사회에선 이런 움직임들이 신정권 초기 공무원 조직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작업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각도 팽배해 있는 실정이다.
최근 대구시내 일선 구청에 대한 감사원감사에 이어 행정자치부의 인.허가 업무 및 행정처분에 대한 교체감사가 잇따르면서 해당부서 공무원들은 본연의 업무수행에 일손을 놓고 있다.
구청 위생과 직원들은 "불경기로 공직사회 금품관련 부조리가 많이 사라졌는데도 서울지역에서 불거져 나온 비리때문에 전체 공무원들이 마치 비리의 주범인양 매도되고 있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경찰도 최근 서울지역에서 터져나온 경찰관 비리사건을 계기로 지방청간 교차 감찰이 실시되고 대민관련 부서 경찰관에 대한 복무기강확립교육이 잇따르자 감사대비에 분주하다. 대구지방경찰청은 12, 13 양일간 방범, 수사, 형사, 교통등 대민관련 부서 경찰관들에 대한 복무기강확립교육을 실시한데 이어 지방청 감사실 직원들을 총동원, 무기한 특별감찰활동을벌이고 있다. 〈李鍾均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