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용택(千容宅) 국방장관은 29일 오전 10시30분 대국민 담화를 통해 "합동신문조의 조사결과 이번 북한 잠수정 침투사건은 명백한 침투도발이며 정전협정 위반 행위로 밝혀졌다"며 "북한 당국은 책임자 처벌 등 가시적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잠수정의 침투목적은.
▲북한 노동당 작전부 소속 공작원들이 무인함(드보크)을 설치하기 위해 침투했다는 것이정황상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는 3명이 상륙했다가 복귀했다는 잠수정 작전일지의 기록으로도 명확히 나타나 있고 난수표가 개봉되지 않은 것으로 봐서 육상 침투조는 없는 것이 분명하다.
-96년에 이어 또다시 우리 해안선 경계망에 구멍이 뚫린 사실이 확인됐는데.
▲우리나라 해안선의 길이는 수천㎞에 달하는데 병력 숫자는 제한돼 있고 해안을 경계하는초소간 간격은 턱없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잠수함 침투가 잦은 동해안 지역에 대한 대잠 경계태세,육상부대의 작전태세,병력배치 등을재검토해 국민들이 납득할만한 조치를 취하겠다.
-잠수정에서 발견된 승조원 명단과 작전일지를 공개할 용의는.
▲즉시 언론에 공개해 국민들에게 한점의 의혹도 남기지 않도록 하겠다.
-잠수정 예인과정에서 진압도 구조도 없었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오해는 반드시 풀어야 한다. 잠수정 발견 지점은 북한의 남방한계선으로부터 23마일밖에 떨어지지 않은 지점이고 우리 영해 경계선에서 0.5마일거리에 있었다. 발견된 잠수정 외에 다른 북한 잠수정이 있는지도 모르는 상황이었고 진해에 있는 잠수함 구난함이 도착하려면 15~16시간이 걸리는 상황에서 지휘관으로서는 최대한 빨리 현장을 벗어나는 것이 급선무였다고 생각한다.
예인과정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수중통신기를 이용해 투항을 권유했고 직접 망치로 선체를두들기기도 했지만 반응이 없었다. 잠수정은 승조원이 구난에 협조하지 않으면 수중에서 해치를 열고 들어갈 방법이 없다.
-공작조가 육상에 침투해 잔류했을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혀달라.
▲잠수정의 상황일지와 잠수장비 등으로 보아 육상침투 가능성은 없다. 또 잠수정내에서 발견된 식기,잠수복 등이 모두 9명분이다. 추가 승선인원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