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퇴출은행들이 보이고 있는 전산망 봉쇄나 인수업무 협조거부등의 행위는 고객을 위기로몰아 넣는다는 점에서 직업윤리상 있을수 없는 일이다. 물론 행원들이 직장을 잃는다는 절망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리고 그것도 은행부실의 원인이 후발은행으로서의불리와 관치금융이 빚은 결과라는 점에서 행원으로서는 억울하다고 느낄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인정한다.
그러나 은행은 행원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고 고객에 대한 금융서비스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고객에게는 피해를 주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더욱이 월말 결제를 앞둔 시점에서 각종 자금수요가 많을 때에 은행업무를 마비시켜 버리면 고객은 어떻게 하란말인가. 굳이 일본 야마이치증권의 일화를 들지 않더라도 행원으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권리투쟁을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이에대한 대응으로 정부가 나서 5개퇴출은행을 어음교환대상에서 일시 제외하고 어음만기일을 당분간 연장해 주는 1단계 적기대응조치를 취해 피해를 최대한 줄이고는 있으나그렇다고 피해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더욱이 충청은행의 경우 퇴직금 중간정산의 이름으로 5백20억원이나 되는 돈을 빼내 가버리거나 경기은행 경우처럼 전산프로그램을 망가뜨린 것은 정말 있을수 없는 일이라고 하지 않을수 없다.
사실 억울한 것은 은행원만이 아니다. 애향심에서 주식을 산 지역민들도 억울하기는 마찬가지다. 고향사람들이 모두 '우리은행'이라는 심정으로 주식을 아끼며 가지고 있다가 휴지로변한 억장이 무너지는 손실은 누가 보상해야 하는 것일까. 여기에는 아무리 부실의 원죄가관치금융에 있다해도 행원도 그 책임의 일부를 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도 고객을 위한 서비스는 외면해서 안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번 더 강조 하지만 지역은행의 주식을 애향심 하나만으로 산 소액주주에게는 어떤형태로든 적절한 보상이 지금은 어렵다면 언젠가는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이 경제정의를실천하는 길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이러한 분란은 이번 퇴출은행 선정이 공정성과 객관성 그리고 합리성이 결여됐다고느끼는 데서 오는 것이 한요인이라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금융사상 처음있는 퇴출이고 보면 말썽이 전혀 없을 수는 없겠으나 앞으로 있을 비은행금융기관에 대한 빅뱅때는 이런 불만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