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세형 총재권한대행 청와대에 건의

국민회의가 지도체제 개편론에 휩싸이고 있다. 조세형(趙世衡)총재권한대행이 24일 오후 청와대 주례회동을 통해 대행체제인 현행 과도체제를 정상화시킬 것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당내 개혁파 초선의원 그룹인'푸른정치 모임'은 구체적인 개편방향으로 대표체제를 제시했던 것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동시에 조기전당대회 개최론으로 이어지고 있는셈이다.

지도체제 개편론이 급부상하게 된 데에는 물론 이번 재·보선에서의 패배상황이 주원인이지만 이보다는 총재대행의 영(令)이 제대로 서지 않는 등 당이 그동안 주요 방침이나 정책을놓고 혼선을 거듭해왔다는 점이 더 큰 배경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지적은 청와대 당무 주례보고에 총재대행뿐만 아니라 당3역까지도 참석한다는 점에서 엿볼 수 있다. 이때문에 이들은 주례보고를 가면서 그 내용에 대해 사전 조율하지 않아서로 상충되거나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내용을 김대중(金大中)대통령에게 건의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재·보선에 조대행을 광명을에 출마시킨 데서도 비슷한 분위기를 읽을 수있다. 당초조대행이 불출마 입장을 고수했음에도 불구, 당내 실세인 동교동계측이 당내 여론수렴과정도 거치지 않은 채 김대통령의 의중임을 강조하면서 사실상 강제적으로 조대행을 후보로 내세운 것이다. 즉 공식적으론 당내 제2인자라고하나 실제로 대행의 위상은 불안하기만 한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명분아래 푸른정치모임은 이날 국회에서 회동, "국민회의는 지도력의 소재를 명확히 파악할 수 없는 등 지도력 부재로 책임한계가 모호해지고 있다"고 비판한뒤 "통제지휘본부의 등장이 시급하다"며 대표체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기에 이른것이다.

이같은 움직임과 관련,이들이 과연 독자적인 목소리를 낸 것인지 아니면 지도부와의 사전교감아래 이뤄진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대행의 경우, 주변의 의혹을 우려한 듯 '노 코멘트'로 일관하고 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