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수성 대표 카드 또 들먹

국민회의가 지난 21일 재·보선 패배를 계기로 지도체제 개편을 위한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에 휩싸이고 있는 가운데 이수성(李壽成)민주평통자문회의수석부의장 기용설이 또 다시 부상하고 있다.

사실 현행 총재권한대행체제는 지난 대선기간중 한시적인 성격으로 도입된 만큼 집권이후부터 줄곧 지도체제 개편당위론이 불거져왔으나 지난달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임시전당대회불가론을 피력하면서 일단 수면아래로 잠복됐던 것이다. 즉 내년 정기전당대회때까진 조세형(趙世衡)총재대행 체제를 고수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그럼에도 대행체제는 조대행이 최근 직접 나서 김대통령에게 지도체제 강화론을 건의할 정도로 한계상황에 이르게 됐다.

결국 당내에선 대표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조기 전대론이 급속도로 공론화되기 시작했으며그 시기는 오는 9월 정기국회 이전쯤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물론 체제개편으로 이어질 경우 대표 1순위는 조대행이라는 게 당내 다수의 시각이다. 지난광명을 보선에서 당선,원내에 진출한 데다 그동안 대행직을 대과없이 이끌어온 점이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를 대행에서 대표로 힘을 실어주는 것에 대해 특히,당내 실세인 동교동계측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것 같다. 이들 대부분이 "정기국회때문에 9월초까진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힘들 것(한화갑총무)"이라는 등임시전대 소집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이때문에 절충방안으로 외부인사 영입론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이부의장의 당대표 기용론이 다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그의 영입에 대해선 집권초부터 김대통령의 지시로한총무등 동교동측이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노력은 이부의장이 대구·경북출신으로 꼽히고 있다는 점에서 DJ의 지역화합 혹은 국민회의의 전국 정당화 구상과 맥이닿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부의장측 반응은 소극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섣불리 대표로 나설 경우 자칫동교동측의 견제로 용도폐기당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들리고 있다.

조기 전대론을 둘러싸고 얽히고 설킨 당내 목소리들이 어떤 식으로 가닥이 잡히게 될 지는결국 지난 25일부터 시작된 김대통령의 여름휴가 구상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