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심야전력 이용 알뜰 냉.난방

유류 가스등 각종 연료가격의 급등으로 각 가정과 기업체마다 에너지관리비 절감에 비상이걸린 가운데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난방기기 설치가 큰 인기를 끌고있다.

심야전력을 이용한 에너지관리는 지난 85년부터 시작, 초기에는 보일러등 냉난방설비기기의결함으로 각종 불편을 낳았으나 이제 설비기술의 발전으로 결점이 말끔히 보완됐다.게다가 한전이 에너지관리정책의 일환으로 심야전력 냉난방기기 설치시 비용지원과 세제상혜택까지 부여하고있어 많은 이점이 뒤따르고있다.

IMF시대를 맞아 각광을 받고있는 심야전력 냉난방기기의 경제성과 지원내용등에 대해 알아본다.

▨ 얼마나 경제적인가

한전이 시행중인 심야전력 요금제도란 전기사용이 적은 심야시간(밤 10시~다음날 오전8시)에 축열기능을 가진 심야전력용 기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 전력량에 대한 요금을 일반 전기요금의 1/4수준으로 적용해 주는 제도.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난방기기의 사용은 값싼 전기요금으로 인해 등유.경유 연료장치보다약 1/2가량 관리비가 저렴하다. 또 도시가스보다는 54% 정도 관리비가 싸며 LPG에 비해서는 63%의 유지비 절감이 가능하다.

단독주택에 사는 김정준씨(59.대구시 동구 신암4동)는 지난 겨울 26평 규모의 1층에 심야전기보일러를 설치, 겨울철 난방비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2백70여만원을 들여 축열식 전기보일러(2천ℓ)와 온수기(2백80ℓ)를 설치했는데 기름보일러로는 30여만원이 들던 한달평균 난방비가 5만원가량에 불과했다.

지난 96년 4월 심야전력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을 설치한 삼성금융프라자(대구시 중구 덕산동)는 설치비용 10여억원중 1억원을 한전으로부터 지원받았다. 다른 연료를 사용하는 냉반방시스템보다 30%가량 투자비가 더들었지만 관리비가 20%정도 적게 들어 추가 투자비용이이미 모두 회수됐을 정도다.

한전이 지상19층 지하2층 연면적 6천1백여평의 한 대형건물에 대해 심야전력 냉난방기기를설치했을 경우 예상한 경제성은 다음과 같다.

심야전력 냉난방기기 설치비는 5억2천여만원. 4억5천여만원이 드는 가스 냉온수기보다 7천만원 정도 더 비싸다.

그러나 한전지원금 4천8백여만원이 나오고 금융지원비도 가스 냉온수기 설치때보다 6백여만원이 더 많아 실제 투자비는 1천6백여만원이 더 소요된다.

반면 1년동안의 관리비는 심야전력기기가 7천6백여만원으로 가스냉온수기 관리비 9천3백여만원보다 1천7백여만원가량 싼 것으로 분석돼 결국 1년이면 추가 투자비회수가 가능하다는결론이 나왔다.

▨ 냉.난방기기 종류와 특징

◇ 축열식 전기보일러 - 심야전력을 이용, 섭씨 90도의 온수를 만들어 축열조에 저장한 후온수를 순환시켜 난방한다. 기존보일러를 교체할 경우 기존 난방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단독주택 기숙사 아파트등 난방에 이용.

◇축열식 전기온돌 - 방바닥밑에 발열선을 깔아 난방하는 방식으로 한겨울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도 동파될 염려가 없고 기기 설치공간이나 연료저장시설이 필요없다. 단독주택 기숙사 아파트난방에 이용.

◇축열식 전기온풍기 - 심야전력으로 고밀도 세라믹벽돌을 데워 열로 저장한 후 낮시간에더운 바람을 일으켜 난방에 활용한다. 주택 사무실 병원 학교등 공간 난방이 필요한 곳에적합.

◇축열식 전기온수기 - 심야전력을 이용, 섭씨 85도의 온수를 만들어 저장한 후 찬물과 혼합하여 사용. 단독주택 공장 기숙사 헬스클럽등에 적합.

◇축열식 전기물끓이기 - 심야전력으로 물을 끓여 저장한후 필요한 시간에 식수로 사용. 학교 병원 식당등 대중이용 급수로 적합.

◇축냉식 냉방시스템 - 심야전력으로 냉동기를 가동, 얼음을 생산하여 축열조에 저장한후얼음을 녹여가며 냉방에 이용. 대형빌딩이나 공장냉방에 적합.

▨ 각종 지원및 세제상 혜택

한전은 심야전력 냉난방기기 설치시 설치보조금을 일부 지원한다. 일반가정의 경우 대략 설치비의 8~10%가량이 지원된다.

또 일반 빌딩에 대해서는 최고 1억원한도의 무상지원금이 지급되며 5백만원한도의 설계장려금도 지원된다.

투자액의 5%상당 금액에 대해 소득세(법인세)가 공제되며 축냉식 냉방설비 구입.설치비용의90% 한도내에서 최고 10억원까지 연리 5%(3년거치 5년분할상환)의 금융지원도 뒤따른다.사용처문의는 한전 경북지사 영업관리부(053-350-2341) 또는 전국 한전 각지점 영업과. 〈柳承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