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되돌아본 50대뉴스

1.정부 수립: 1948년 8월15일 이승만대통령이 정부수립을 내외에 선포, 완전한 독립국임을알렸다. 이대통령은 초대 대통령에 선출됐다.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북한은 1948년 9월9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따로 수립했다. 사회주의 민족해방투쟁계열등이 참여했다.

3.여순반란사건:1948년 10월20일 전남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국군 제14연대의좌익계열 군인들이 무기고를 점거, 좌익청년들과 폭동을 일으켰다.

4.김구암살:임시정부 주석을 지낸 백범 김구선생이 1949년 6월26일 서울 경교장에서 육군소위 안두희의 흉탄에 맞아 운명했다.

5.반민특위해체:1948년 9월7일 제40차 국회에서 일제당시 악질적인 민족반역자를 처단하기위해 특위가 구성됐으나 기득세력의 반발을 수습 못하고 해체됐다.

6.한국전쟁 발발:1950년 6월25일 새벽 북한공산군이 38선 전역에 탱크를 앞세우고 무력도발을 감행, 한반도를 피로 물들였다.

7.거창양민학살:1951년 2월10일 공비토벌을 명령받은 병력이 경남 거창군 신원면 일대 부녀자 등 주민을 무차별 학살, 공비토벌로 보고했다.

8.휴전협정 조인:1953년 7월27일 유엔측 대표 헤리슨중장과 북한대표 남일이 18통의 휴전협정에 조인함에 따라 한국전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9.사사오입 개헌파동:1954년 11월27일 대통령 종신제 개헌안이 표결에 부쳐졌으나 부결됐다.그러나 이틀후 사사오입할 수 있다며 번복가결됐다.

10.TV방송국 개국:1956년 6월16일 미RCA의 도움으로 첫 텔레비전방송송출을 시작한데 이어 8월18일 국영방송인 HLCK가 탄생했다.

11.태풍 사라 강타:태풍 사라가 추석 하루전인 1959년 9월17일 새벽부터 영호남지역과 중부내륙지방을 강타, 929명이 사망.실종됐다.

12.재일교포 북송:1959년 1월 일본외상이 발표한 재일교포 북한송환 방침에 따라 그해 12월14일 9백75명의 재일교포가 일본의 신사항을 떠나 북한의 청진으로 향했다.

13.4.19혁명:1960년 3월15일 자유당정권이 폭력배를 동원, 부정하게 정.부통령선거를 치르자마산을 시발로 반정부시위가일어났다.

14.5.16 군사쿠데타:박정희육군소장과 김종필중령 등 육사 8기생이 주축이 된 일단의 현역군인들이 1961년 5월16일 새벽 군사쿠테타를 일으켰다.

15.증권파동및 화폐개혁:공화당 창당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인위적으로 조성된 증권붐과 투기현상이 1962년 5월 증권파동으로 이어졌다.

16.월남파병:1965년 2월 비전투 비둘기부대의 월남파병에 이어 7월초 전투병인 육군 맹호및해병 청룡부대를 처음으로 이 지역에 파병했다.

17.한일협정 조인:정부는 학생과 야당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1965년 6월22일 일본과의기본조약에 정식서명했다.

18.북한 무장공비침투:1968년 1월21일 밤 김신조(金新朝)등 북한의 특수부대요원 31명이 서울 청운동과 일대에 침입, 종로경찰서장을 사살하고 민간인 6명을 살해했다.

19.예비군 창설.주민증 발급:정부는 1.21 무장공비 침투사건을 계기로1968년 4월1일 예비군을창설하고 그해 11월21일부터 주민등록증을 발급했다.

20.3선개헌안 반칙 통과:박정희대통령은 1969년 9월14일 개헌을 단행, 공화당의원들이 새벽2시 개헌안을 변칙 통과시켜 큰 파문을 일으켰다.

21.경부고속도로 개통:서울~부산간 고속도로가 68년 2월 착공, 4백29억7천3백4만원을 들여건설된뒤 1970년 7월7일 개통됐다.

22.김대중 납치사건:일본에 외유중이던 김대중씨는 1973년 8월8일 도쿄서 자칭 구국동맹행동대원에게 납치, 동교동 자택으로 귀환, 자택에 연금됐다.

23.육영수 여사 피격사건:1974년 8월15일 장충동 8.15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재일교포 문세광이 쏜 총탄에 육영수여사가 운명했다.

24.판문점 도끼만행:북한은 1976년 8월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미류나무를 제거하려던미군장교 2명을 도끼로 살해했다.

25.양정모선수 올림픽 금메달:양정모선수가 몬트리올 올림픽 폐막을 하루앞둔 1976년 8월1일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을 땄다.

26.수출 1백억달러 돌파:정부주도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성공으로 1977년 12월22일 수출고 1백억달러를 달성했다.

27.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1979년 10월26일 당시 중앙정보부장인 김재규에 의해 박정희대통령이 시해돼 전두환장군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28.광주민주화운동:1980년 서울의 봄이 5월1일 군부의 비상계엄으로 유리되자 광주시민들은같은 달 17일부터 항의시위를 벌여 유혈참극이 빚어졌다.

29.야간통행금지 해제:1982년 1월6일 자정 야간통행금지가 37년만에 해제됐다.30.이철희.양영자부부 사건:1982년 5월4일 이철희.장영자부부가 구속되면서 밝혀졌으며 어음사기 총액이 6천억원에 이르는 80년대 최대의 금융사기 사건.

31.사할린 KAL기 피격사건:1983년 9월1일 사할린 상공에서 대한항공 여객기가 구 소련 전투기의 공격을 받고 추락, 승무원 29명과 승객 2백40명 전원이 숨졌다.

32.아웅산 폭발테러사건:1983년 10월9일 전두환대통령이 미얀마를 방문했을 당시, 북한이 폭탄을 미리 장치, 서석준부총리등이 순직했다.

33.남북고향단 교환 방문:1985년 9월20일부터 23일까지 남북에서 1백51명이 방문, 이중 65명이 이산가족 친지 92명과 만났다.

34.국내 첫 시험관 아기:1985년 10월12일 서울대병원 장윤석교수팀에 의해 시험관아기가 탄생했다.

35.박종철군 고문치사사건:1987년 1월14일 서울대생 박종철군이 치안본부 대공수 2단에서 조사받던 중 물고문으로 숨졌다.

36.6.29선언과 대사면:민정당 노태우대표가 1987년 6.29일 대통령 직선제개헌 등 8개항의 시국수습안을 담은 6.29선언을 전격 발표했다.

37.88서울올림픽개최:1988년 9월17일부터 16일간 열린 서울올림픽은 1백60개국 4만3천여명의선수단이 참가, 사상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38.한.소 수교:한소양국은 1990년 6월4일 전격적인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에 이어 그해 9월30일 86년간 단절됐던 외교관계를 복원했다.

39.지방자치제 부활:1991년 풀뿌리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지방자치제가 30년만에 3.26 및 6.20지방선거로 부활했다.

40.남.북한 유엔 동시가입:남북한이 분단된지 반세기만에 91년 9월17일 제46차 유엔총회에서유엔에 동시가입했다.

41.황영조 올림픽마라톤 금메달:1992년 8월10일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황영조가 몬주익의 메인스타디움에 맨 처음 모습을 나타냈다.

42.금융실명제 실시:1993년 8월12일 대통령 긴급명령으로 금융실명제가 발효됐다. 우리 경제의 새틀을 짜기 위한 것이었다.

43.김일성 사망:사상 최초의 남북정상회담을 17일 앞둔 1994년 7월8일 49년동안 북한을 통치해온 김일성이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44.전두환 노태우전대통령 구속:1994년 11월16일 노태우전대통령이 거액 수뢰혐의로, 그해12월3일에는 전두환전대통령이 12.12와 5.17군사반란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수감됐다.45.삼풍백화점 붕괴사고:1995년 6월29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풍백화점 건물이 통째로 무너져 내려 5백2명이 사망하고 9백37명이 부상했다.

46.김경호 일가족 북한 탈출:북한주민 김경호씨 일가 17명이 1996년 10월26일 북한을 탈출,중국대륙을 거쳐 그해 12월19일 한국에 귀순했다.

서 뇌물을 받은 홍인길의원은등 8명이 구속됐다.

48.IMF구제금융 신청:1997년 1월 한보부도로 시작된 경제대란은 국제통화구제금융을 신청,사실상의 국가부도로 이어지고 말았다.

49.여야 첫 정권교체 실현:1997년 국민회의 김대중후보가 12월18일 치러진 대선에서 유효표의 40.3%를 얻어 제15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50.정리해고 본격화:1998년 IMF체제에 따른 정부와 민간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회 전분야에 걸친 구조조정이 단행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