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회의 경제청문회 증인리스트 선정

국민회의 정책위산하 경제청문회 실무준비팀은 26일 증인으로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과 현철(賢哲)씨, 수감중인 강경식(姜慶植)전경제부총리와 김인호(金仁浩)전경제수석 그리고 김용태(金瑢泰), 김광일(金光一)청와대비서실장 등을 포함해 42명을 선정했다.

이 명단에는 이경식(李經植)전한은총재와 환란당시 국무총리와 경제부총리였던 고건(高建)서울시장과 임창렬(林昌烈)경기지사, 김선홍(金善弘)전기아회장 등이 포함돼 있다. 또 종금사 인허가 및 개인휴대통신(PCS)사업자 선정과정의 관련업계 인사등도 증인명단에 들어가있다. 또 준비팀은 정주영(鄭周永)현대그룹명예회장, 이건희(李健熙)삼성그룹회장, 구본무(具本茂)LG그룹회장 등 재벌그룹 총수들은 참고인으로 청문회에 출석시킬 것을 건의했다.방송청문회와 관련해 준비팀은 오인환(吳隣煥)전공보처장관과 현 한나라당의원인 이경재(李敬在)전공보처차관 등 공보처 간부들과 청와대공보수석, 심사위원, 업계 관계자 등을 포함시켜 놓았다.

한편 국민회의가 정책위 산하 청문회 준비팀이 작성한 '청문회 증인리스트'가 유출돼 언론에 공개되자 문건 유출 관련자를 문책하겠다고 나서는 등 한바탕 소동을 벌였다.조세형(趙世衡)총재대행은 이날 열린 당무회의에서 문건 유출문제에 언급, "이는 실무진에서검토돼 정책위의장도 보고받지 못한 것"이라면서 문건유출자를 문책토록 지시했다고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이 전했다.

청문회 준비작업을 총지휘하고 있는 김원길(金元吉)정책위의장도 당무회의가 끝난 뒤 기자간담회를 자청, "문건은 실무준비팀에서 '상식적으로' 거론할 수 있는 사람들의 명단을 파악해 본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실제로 42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다 청문회에 출석시킬 수도없다"고 해명했다.

김의장은 나아가 "IMF사태에 이르기까지의 경제흐름을 먼저 파악한뒤 고비고비의 중요한사안을 조사할 때 관련 당사자들을 부르면 되는 것"이라며 '선(先)청문회범위 결정-후(後)증인선정' 과정을 거치게 될 것임을 강조했다.

당지도부가 이처럼 '증인리스트'의 신뢰성을 '격하'시키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인 이유는 당의 공식 설명처럼 이 문건이 실무차원의 문건때문이기도 하지만, 증인대상으로 검토되는 인사들이 미리 언론에 거론됨으로써 빚어질 정치적 파장을 고려한 측면이 강하다.즉 국회가 청문회 개최를 결정하기도 전에 '확정되지 않은 증인리스트'가 나돌게 되면 구(舊) 여권 인사들에 대한 보복차원에서 경제청문회를 추진한다는 비판여론이 제기될 수도있다는 판단인 것이다.

김의장도 이 점을 의식, "경제청문회는 우리 경제가 파탄에 이르게 된 원인과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일 뿐 정치보복이나 사정차원에서 이뤄지는게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이밖에 증인 검토대상자들의 반발 또는 로비 가능성을 차단하고 증인 선정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여야 할 한나라당을 지나치게 자극하지 않으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