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위 당정협의기구인'고위국정운영협의회'가 진통끝에 위원 인선을 마무리 짓고 12일 첫회의를 갖는 등 공식 출범은 하게 됐으나 난항이 예상된다. 자민련이 내각제 공론화를 위한발판으로 삼으려는 의도를 내비치고 있는 반면 국민회의는 가능한 한 기구의 위상을 낮추려고 하는 등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갈등은 국민회의가 지난 대선 당시의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려는 데서 비롯됐다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양당은 9일 위원명단 발표를 놓고도 혼선을 빚었다. 자민련이 청와대 이강래(李康來)정무수석을 포함시킨 13명의 참석 멤버를 발표한 직후 국민회의측은 그를 제외한 12명의 명단을공개했다. 이에 대해 자민련 박준병(朴俊炳)사무총장은 이수석 문제는 이미 합의된 사안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논란끝에 최종 인선은 김종필(金鍾泌)총리를 의장으로 국민회의측에선조세형(趙世衡)총재권한대행, 김영배(金令培)부총재가, 자민련의 경우 박태준(朴泰俊)총재와김용환(金龍煥)수석부총재로 결정됐다. 그리고 양당 3역 및 청와대 김중권(金重權)비서실장이 보태졌다·이수석까지 포함시킴으로써 이 기구의 위상을 더욱 강화시키려는 자민련측 움직임에 국민회의측이 제동을 건 셈이다.
이같은 견제는 기구 명칭을 정하는 데서부터 감지돼왔다. 자민련측은 대선당시의 후보단일화 합의문대로'공동정부운영협의회'로 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지만 국민회의는 8인협의회가 이미 설치돼있는 만큼 새 기구는 필요치 않다는 입장이었다.
김수석부총재가 9일 의원세미나를 통해 내각제 약속은 공동정부의 도덕적 기반이라는 식으로 개헌의지를 거듭 강조한 것도 이같은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실제로 자민련측은 이 기구를 통해 내각제 등 최고 국정현안까지 다뤄야 한다고 주장하고있으나 국민회의측은 역시 국가정책을 협의하는 기구에 불과하다는 등으로 맞서고 있는 것이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