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MF직전 외화두고도 못썼다

IMF는 지난해 외환위기 직전 한국은행이 3백억달러의 공적외환보유액 이외에 국내은행에3백억달러를 예탁하고 있었으나 이 돈이 한국기업들에 대출됐거나 은행들이 유동화시킬수 없는 자산에 투자돼있어이를 인출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또 국내 금융기관들은 국내에서와 같은 고수익을 기대, 자본거래 자유화 조치이후고수익을 보장하는 러시아, 멕시코, 브라질,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및 한국의 해외물까지포함한 신흥시장 국가들의 고위험 채권을 대거 매입, 유동성이 묶여 있었다고 지적했다.

24일 IMF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한은은 위기직전 공적외환보유고 3백억달러 이외에국내은행에 3백억달러를 외화예탁금으로 예치하고 있었으나 이를 인출할 수 없었다고밝히고 이는 예치금이 한국 기업들에게 대출됐거나 은행들이 당시의 시장여건으로는유동화할 수 없거나 유동화하기 원하지 않는 자산에 투자됐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한국 금융기관들의 투자대상은 중남미의 브래디본드, 러시아 국채, 다양한신흥시장 국가들의 유로본드, 해외발행 한국물 등에서부터 수익률이 높은 인도네시아의국내채권에 이르기까지 신흥시장 국가들의 채권을 거의 다 망라했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기관들의 신흥시장국가 채권에 대한 투자는 지난 96년에 가장 활발해 러시아가처음 발행한 유러본드의 40%, 멕시코가 발행한 채권 60억달러와 브라질이 발행한 채권7억5천만달러의 각각 20% 이상, 콜롬비아가 발행한 2억7천5백만독일마르크 규모의 채권전액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