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일러 올바른 사용법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기운이 감돌면서 보일러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올 봄 이후 방치하다시피한 보일러는 사용 전 청소하는 것이 좋다. 환경오염을 줄이고 연료를 아낄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일러 수명까지 연장할 수 있는 1석3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름보일러의 경우 내부 연료실 그을음을 없애는 것만으로 5~10%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청소는 비교적 간단하다. 먼저 전원과 기름공급밸브를 잠그고 연통과 덮개를 분리한다. 소음기와 열차단판을 들어낸 뒤 위에서 아래로 쇠솔 청소를 하면 된다. 청소가 끝나면 역순으로 조립하고 열차단판 결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 기름탱크 아래에 있는 드레인코크를 열어 이물질, 침전물 등을 들어내야 한다. 기름버너 옆에있는 기름여과기도 분해, 청소해야 하며 오염이 심할 경우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이 떨어진 상태에서 보일러를 켜면 공기가 기름펌프 안으로 들어가 작동이 어렵다. 이 때는 버너 옆기름펌프 꼭지를 열고 거품 섞인 기름을 빼내면 정상가동된다. 연통이 찌그러졌거나 구멍이 생겼으면 바로 잡아야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같은 청소에다 보일러 전용 '보일러등유'를 사용하면연소효율이 높고 경비가 절감돼 10% 정도의 난방비를 추가로 줄일 수 있다.

가스보일러는 기름보일러와 달리 청소에 유의해야 할 점이 많다. 평소엔 내부 먼지나 오물을 간단히 청소하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좋다. 사소한 고장이라도 가능한한 내부 부품에 손을 대지 말고 가까운 서비스센터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혹시라도 가스공급관이 새지 않는지 항상 점검하고특히 설치공간의 환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보일러를 작동시켰는데 파란 불꽃 대신 붉은 불꽃이올라오면 고장 신호로 봐야 한다.

청소 요령은 우선 열교환기를 본체에서 분리한 뒤 녹과 이물질을 물로 씻어낸다. 전열판은 분무기로 닦아내고 버너에 이물질이 많으면 부드러운 솔로 문질러 주면 된다. 해체와 조립에 자신있는 사람도 비눗물을 사용해 최종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보일러를 직접 청소하기 어려운 사람은 에너지관리공단 대구지사(751-0365~6)나 열관리시공협회대구지부(766-2761~2)에 문의하면 된다. 열관리시공협회는 이달 12일부터 보일러청소주간을 정해청소비를 50% 할인하고 난방시설 배관도 점검해 줄 계획이다. 〈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