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더·D·리틀(ADL)사가 반도체 부문 통합법인의 책임경영주체로 현대전자가 적합한 것으로 실사결과를 발표한뒤 LG반도체가 즉각 반발함으로써 향후 통합구조조정에 일대 파란이 예상된다.LG는 24일 "ADL의 보고서를 경영주체 선정을 위한 평가로 인정할 수 없다"며 근본에서부터 이의를 제기한 반면 현대는 LG 및 관련기관과 협의, 통합절차 및 방안을 조속히 확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책임경영주체 선정 시한 마감을 앞두고 업계에서 예견됐던 상황이 현실화된 셈이다.재계 관계자는 "기업인수합병을 위한 실사기간이 정상적인 경우에도 최소 6개월이 필요한데도 이를 무시한 채 유·무형의 압력으로 마감시한을 정한 것이 결국 예견된 부작용을 낳았다"면서 현상황에서 합리적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7일 청와대에서 열린 정부-재계 정책간담회에서 발표된 합의문에는 "통합결렬의 귀책사유가있는 기업에 대해 신규여신중단 및 기존여신 회수 조치를 취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최악의경우 기존여신 회수를 통한 부도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경우 LG반도체에 지급보증을 선 여타 계열사에도 치명적인 타격이 가해지고 시장에미치는 충격이 커 여신회수 등의 조치가 현실화되긴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재계는 그러나 기존 여신 회수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신규여신중단 자체로도 상당한 압력일 수 있으며 나아가 국세청과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가 총동원된 전방위압력이 펼쳐질 수도 있어 LG가유·무형의 압력을 끝까지 감내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향후 사태가 어떻게 진행되건 간에 정부와 해당기업 모두에게 커다란 상처를 입히고 대외신뢰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재계는 우려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자제하고 있으나 현대-LG간의 원만한합의가 이뤄지지않을 경우 앞으로 양대그룹 총수 회동 등을 주선, 의견절충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이 경우 '논란'은 있지만 반도체부문 구조조정이 일단 매듭된 것으로 전제, 반도체 이외에 양 그룹이 관심있는 사업분야를 끼워넣어 별도의 빅딜(대규모사업교환)협상을 전개, 최종합의를 타결하는 방안이 모색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설령 양사간의 통합 합의가 이뤄진다고 해도 해결돼야 할 과제는 산적해있다.향후 무형자산에 대한 실사와 해외자회사의 처리문제, 종업원과 소액주주의 반발, 기술제휴선과주문자상표부착생산방식(OEM) 거래선과의 마찰 문제, 독과점에 대한 미국의 문제제기 등 과제가첩첩산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