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제조업 경기가 지역.업종.기업규모별로 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중소기협 대구.경북지회가 발표한 7월 가동률 조사에 따르면 섬유.1차금속.비철금속.광학.공예.가구업종은 80%를 넘어서는 높은 가동률을 보여 경기회복세가 뚜렷했다. 광학업종은 87.8%를 기록했으며 1차금속 82.4%, 공예 81.5%, 가구 80.8%, 섬유 80.2%, 비철금속 80% 등으로 다른 업종보다 높았다.
이에 반해 섬유기계를 비롯한 기계제조업종과 건설경기를 반영하는 비금속 광물업종은 44.6%, 54.4%에 불과해 여전히 불황을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비금속 광물업종은 지역별, 제품별로 편차가 커 대구.경북지역 가동률이 35.9~60.3%, 레미콘.벽돌 등 시멘트가공제품 가동률이 30~60%로 각각 두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자동차부품업종은 기업규모에 따른 가동률 차가 컸다. 중견기업이 80%인 데 반해 소기업은 60%에 불과했다. 소기업 가동률은 지난 6월에 비해 10% 떨어졌다. 대우그룹 사태와 여름 휴가철이라는 계절적 영향을 중견기업보다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협대구.경북지회 관계자는 "이같은 가동률 편차는 경기회복세가 전체 업종, 지역, 기업으로 고루 확산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李相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