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점서 맴도는 지역 SOC투자

대기업 구조조정과 대우계열사 워크아웃 등으로 국내 기업들의 지역 SOC사업 투자가 꽁꽁 얼어붙어 대구의 지역 개발사업이 차질을 빚게 됐다.

특히 일부 민자사업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예산사업으로 전환돼 대구시의 재정운용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대구시는 북구 검단동 종합물류단지 조성과 관련, 화물터미널, 집배송센터, 도매단지, 축수산물 도매시장 설치등에 총8천800억원 규모의 민자를 유치키로 했었다. 그러나 지난달 국내 105개 기업체에 투자유치 제안서와 CD-롬 등이 포함된 홍보물을 보냈지만 희망업체가 전혀 나서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는 10월 싱가포르에 투자유치단을 재차 파견할 예정이지만 외자유치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당초 올해부터 물류단지 사업자 선정과 함께 개발에 들어가기로 했으나 민자 및 외자유치 공전으로 계획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철도청과 대구시 (주)청구가 제3섹터 방식으로 추진했던 서대구화물터미널의 경우 민자사업자인 (주)청구의 부도로 공사가 중단된 후 지난 4월과 6월 2차례나 사업자 선정공고를 냈지만 응모업체가 한 곳도 없었다. 시는 지난 7월 서대구화물터미널 투자 유치를 위해 국내 100대 기업에 투자제안서를 발송했지만 이 역시 회신이 온 기업체는 단 한 곳도 없었다.

국내 투자자들이 나서지 않자 대구시는 기반시설비 민자분 260억원을 철도청과 시가 공동부담키로 하고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줄 것을 기획예산처에 요청했다. 대구시는 민자사업자 유치불발로 이미 투자한 45억원 외에 152억5천만원을 추가부담해야 해 가뜩이나 어려운 재정난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또 96년 착공, 지난 6월 완공예정이었던 서대구화물터미널 사업은 2001년으로 공기가 2년 이상 늦춰지게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