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13 총선직전에 불거졌던 당시 전.현직 의원 등 정치인들 자제에 대한 병역비리 수사를 둘러싸고 그동안 말도 많았으나 결국 검.군 합수반이 큰 성과없이 1년시한에 쫓겨 해체해 버렸다.
이 수사는 사실상 반부패국민연대가 수집한 정보을 토대로 정치인 등 사회지도층의 병역비리였기 때문에 그 파장이 컸었다.
그러나 문제는 여.야 정치인 50여명이 그 명단에 포함됐고 그 시점이 총선을 불과 한달여 남겨 뒀기 때문에 선거에 미칠 파장을 우려, 수사시기를 선거후로 연기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게 언론의 한결같은 지적이었다. 그건 당시 야당소속 정치인들이 많았기 때문에 해묵은 문제를 왜 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들고 나와 결국 야당에 불리한 선거정국으로 몰고 가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게 수사 연기주장의 배경이었다.
그 병역비리 문제가 그 당시에 불거진 것도 아니고 벌써 수년전의 사안인데다 그걸 수사한다고 당사자를 소환한다하거나 했을때 총선에 출마한 정치인들에겐 치명상을 입히는 게 현실이었다.말하자면 공정한 게임룰에 의거해 총선을 치러 민의(民意)를 정확하게 파악하자는 대국적인 의도가 그 배경에 깔려 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언론의 지적을 무시하고 검찰은 시민단체의 고발사안이고 신성한 국방의무사범인 만큼 그럴수 없다며 수사강행 의지를 보였고 해당정치인들은 소환에 불응하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또 총선유세에선 주로 여당측이 그걸 무기로 야당의 부도덕성을 성토하는 그야말로 '선거호재'로 재미를 본 것도 사실이었다.
이런 배경을 소상히 되짚어 보는 건 결국 이 정치인 병무비리수사는 한나라당 김태호의원 1명을 기소하는 선에서 합수반마저 해체해버려 결과적으로 합수반의 수사자체가 선거들러리를 선 것밖에 더 있느냐는 의혹을 뒷받침한 결과가 돼 버렸기 때문이다.
국가 공권력이 그것도 병역비리사범에 대해 큰소리칠땐 언제고 이제 그 효율성이 없어지자 사안 자체를 유야무야로 덮는다는 건 누가봐도 남용이라는 비난을 하지 않을 수 없는 모양새가 돼 버렸다.
물론 이번 수사로 병역브로커에 대한 철퇴, 전 병무청장의 구속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둔 건 사실이지만 행시(行試)나 사시(司試) 합격생 상당수가 병역비리에 연루된 것마저 시원하게 파헤치지 못한 것까지 감안하면 그야말로 검찰간부말대로 용두사미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왜 검찰이 정치권의 들러리를 섰다는 의혹과 국민신뢰 상실을 자초했는지 이번 사건을 통해 대오각성이 있기를 당부해 마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