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관광객들의 한국 백화점에서의 유명브랜드 상품 구입이 2배 이상 크게 늘어났다.
서울 남대문과 동대문상가에서 의류와 소품, 백화점에서는 김치, 젓갈 등 반찬류라는 기존의 '짠돌이성' 쇼핑 양태가 바뀌고 있는 셈이다.
11일 롯데백화점이 소공동 본점의 부가세 환급(Tax Refund) 신청을 토대로 외국인 구매에 의한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이 17억600만원으로 전년도의 8억2천만원에 비해 10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의 월평균 구매액도 228건에 1억4천200만원 어치로 전년도보다 120건에 7천500만원이 늘어났다.
최하 5만원 이상의 과세상품으로 한정된 부과세 환급의 신청자 가운데 일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95% 이상이었다.
특히 관광객 1인당 구매액이 99년의 55만4천원에서 지난해엔 62만4천원으로 7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백화점 국내 고객의 평균 객단가인 7만5천원에 비해 8배가 넘는 금액이다.
백화점측은 △외국인 구매자의 95%가 일본인이고 △1인당 구매액이 62만원이 넘는 점 △매출액이 2배 이상 신장한 점 등을 감안해 일본인 관광객의 명품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이 가장 선호한 샤넬 브랜드의 20만~30만원대 액세서리, 프라다의 40만~60만원대 핸드백, 베르사체의 20만~40만원대 벨트와 니트 등이었고 버버리, 아이그너, 가이거 등의 브랜드도 인기가 높았다.
백화점의 부가세 환급 업무 담당자 김미경씨는 "같은 브랜드 제품을 일본보다 10~20% 싸게 살 수 있다는 것이 일본인들의 평가"라며 "명품 매장 고객 10명 중 3, 4명은 일본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백화점측은 올해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정부 주관의 코리아 그랜드세일 등 다양한 행사로 일본인 명품 쇼핑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명품 매장에 일본어 사용이 가능한 직원들의 배치를 대폭 늘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