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4일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 조기 답방설이 제기된데 대해 의구심을 내보였다.
정부 관계자들의 부인에 따라 공식적인 입장은 내지 않고 있고, 당내에서도 성사 여부를 놓고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이나, 여권이 김 위원장 답방을 정략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감에서다.
정치분야 대정부질문 때 김 위원장의 조기 답방을 점쳤던 강재섭(姜在涉) 부총재는 "시중에 김 위원장 2월 답방설이 나돌았던 것은 사실"이라며 "또 답방시 북한측의 요구를 파격적으로 수용하는 대신 통일방안에 대한 진전된 합의를 얻어낼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고 밝혔다.
강 부총재는 "여권이 남북관계의 획기적 변화를 통해 헌법 개정, 정계개편 등을 도모할 소지가 있다"고 관측하고 "당에서도 이같은 '첩보'를 입수, 대정부질문 때 이를 못박아야 한다는 주문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정형근(鄭亨根) 의원은 "2월 답방설이 너무 급작스럽다는 생각이 드나 무시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면서 "조기 답방을 통해 남북의 진전된 관계를 대외적으로, 특히 미국에 인식시켜야 하는 이해관계가 남북한 모두에 있는 게 아니냐"고 분석했다.
정 의원은 "임동원(林東源) 국정원장의 방미 등에 비춰 모종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번 평양방문이 '4.13 총선용'이었다면 김 위원장 답방은 재집권을 겨냥한 정치적 노림수"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특히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대북정책이 '밀실교섭'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목소리를 높였다.
장광근(張光根) 수석 부대변인은 "여권이 '밀실흥정'을 통해 김 위원장 답방을 '깜짝 쇼' 식으로 할 경우 국민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한편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은 대변인격인 한나라당 박종웅(朴鍾雄) 의원을 통해 "중차대한 문제를 '깜짝 쇼'로 처리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면서 "만약 그런 식의 전격 답방이 이뤄진다면 현 정권의 존립에도 문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김 전 대통령은 또 "김 위원장 답방전 KAL기 폭파, 아웅산 테러 등에 대한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