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너무 야한 광고 '눈끌기' 역효과 '노출수준과 광고' 논문

'벗기면 벗길수록 광고효과는 좋을 것'이라는 통념에 반대되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20일 전북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백영호(29)씨가 제출한 석사논문 '여성모델의 노출수준에 따른 감정반응과 광고효과'에 따르면 여성모델을 무노출(원피스), 부분노출(브래지어), 완전노출(누드)로 구분, '광고흥미도(7점만점)'를 측정한 결과 남성들은 부분노출과 무노출에 4.79와 4.49로 다소 높은 점수를 줬으나 완전노출에 대해서는 3.98로 낮은 점수를 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광고를 보고 느끼는 '흥분감(5점만점)' 측정에서도 남성들은 완전노출에 대한 흥분감(2.33)이 부분노출(3.12)과 무노출(2.51)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노출수준에 따른 '흥분감'이 무노출(1.94), 부분노출(2.08), 완전노출(2.34)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완전노출에 대한 '흥분감'은 남녀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측정됐다.

그러나 노출수준과 구매의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는 F값(1 이상이면 노출수준이 구매의도를 자극한다는 의미)은 남녀 모두 1미만으로 나타나 노출정도가 구매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