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해양 및 토양오염 방지를 위해 올해부터 2003년까지 동·남·북·중부의 4개 권역으로 나눠 400억원을 투자, 하루 100t처리 규모의 하수슬러지 소각시설 4기를 설치키로 했다.
이는 하수 슬러지의 육상 매립이 2003년 7월 이후 전면 금지되고 해양투기도 런던협약 등에 의해 국제적인 금지추세에 따라 하수 슬러지의 안정적 처리가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도는 이를 위해 4개 권역별로 중심시를 정해 중심시가 주관하는 광역행정협의회 등을 통해 타당성조사와 여론 수렴 등 행정절차를 거쳐 시행키로 했다.
도는 소요자금의 75%인 300억원을 국비나 양여금으로 지원해 주도록 환경부에 건의키로 하고 지방비 부담분은 민자를 유치, 추진키로 했다.
슬러지 소각장은 하수처리장 내에 설치, 환경문제 및 민원발생을 최소화하고 광역시설 설치로 시설비 및 운영·관리비를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경북도내에는 15개소의 하수종말처리장(처리용량 하루 81만5천t)에서 발생하는 하루 271t의 슬러지중 76%인 205t은 해양투기하고 24%인 66t은 육상 매립해 왔다.
그러나 낙동강수계 물관리종합대책에 따라 2005년까지 21개 처리장을 추가 건설, 36개 하수종말처리장이 가동되면 하루 376t(연간 13만7천t)의 슬러지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도는 20일 시·군 수질담당 과장 회의를 열고 이같은 추진 방안을 시달했다.
홍석봉기자 hsb@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