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관주도형 밀라노프로젝트 딜레마의 극복

밀라노 프로젝트가 3차년에 접어들었음에도 아직까지 관주도형에 대한 비판이 이곳저곳에서 일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관주도형 추진이 과연 성공할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지만 무턱대고 성공하지 못한다는 논리는 위험하다. 다만 경직된 관료조직이 얼마나 동태적 경영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성패가 달려 있다고 본다. 밀라노 프로젝트가 관주도형으로 추진되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대구에는 밀라노 프로젝트를 이끌어 갈만한 조직적 역량이 있는 민간단체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프로젝트가 시행되기 전 치밀한 집행계획이나 태스크 포스팀을 운영할 준비자세도 부족했다. 그리고 특정 섬유단체에 밀라노 프로젝트의 예산을 전폭적으로 밀어주는 것 자체가 밀실거래니 야합이니 하는 중앙, 지방정부의 염려도 적지 않았다.

또 민간주도형 프로젝트가 과연 정부예산에 대한 무한책임을 감내할 수 있을 것인가도 의문시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지역의 섬유산업 개발을 위해 개별섬유기업과 연구기관, 그리고 중앙정부간의 조율을 위한 중재자의 역할을 과연 민간단체가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회의도 관주도형으로 추진하게 된 큰 이유다.

따라서 관주도형이라서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더구나 밀라노 프로젝트팀은 섬유업체에서 다년간 경력을 쌓은 유능한 민간인력을 수혈해 사실상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업체의 기술과 유연성, 그리고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어우러져 밀라노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도록 민간기업에서도 동반자적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